d라이브러리
"과목"(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과학동아 l1991년 07호
- 정보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 능력을 길러주고 컴퓨터를 교육도구로 활융해 다른 과목의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자는 것입니다.조-컴퓨터는 '만능'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진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심지어 어떤 학부모는 아이에게 컴퓨터를 사주면 머리가 좋아질 것으로 믿기도 합니다. ...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과학동아 l1991년 07호
- 도구로서 사용하는 가운데 컴퓨터에 친숙해지는데 목표를 두고 중등단계에서는 교과목으로서의 컴퓨터 과학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셋째 컴퓨터시스템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이외에도 필요한 주변기기가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넷째 재정이 허락된다면 컴퓨터 교육은 학교에서의 학사행정업무의 ...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과학동아 l1991년 07호
- 2 3학년용(선발고사 전과목)과 고등학교1 2학년용(국어 영어 수학), 3학년용(학력고사 전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가격은 중1부터 고2까지는 연회비 7만원, 고 3은 8만원이다.한국컴퓨터교재연구소에서 선보인 코코미 스쿨은 교과진도에 따른 학습 내용과 함께 최신뉴스, 게임도 다루고 있다.가격은 월 ... ...
-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과학동아 l1991년 07호
- 교육대학에서 과학과목을 전공한 사람들은 좀 더 많은 내용을 배울 수 있다고 하지만 전 과목을 섭렵하는 교육과정상 깊이 있는 지식을 갖기는 어렵다. 호기심 많은 아이들의 질문은 쏟아지고, 대답은 궁하고…. 교단에서 더해지는 이런 목마름을 풀기위해 뜻맞는 사람들끼리 공부하는 모임을 ...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과학동아 l1991년 06호
- 하고 있다. 무학과제 운영하에서는 사실상 전과(轉科)가 자유로이 허용되는 셈이며 과목별 이수내용(학점취득수)에 따라 졸업장에 최종적으로 전공이 표시된다.첨단과학기술은 분과의 벽 넘어최근 과학기술계에서는 각 분과학문이 서로 협동해 하나의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학제(學際, interdisciplinary ...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있다. 미국 등 외국대학의 제도를 모방한 것인데, 학부에서는 자신이 듣고 싶은 과목을 마음껏 골라 듣고 논문을 쓸 때만 전공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물론 대학원에 진학해서도 논문 쓴 분야를 계속 세부전공으로 선택한다 ...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일반대학에서 흔한 결강은 꿈도 꿀 수 있다. 또 무학과제를 채택하고 있어 모든 과의 과목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무학년제가 도입돼 능력이 있으면 남들보다 일찍 졸업할 수 있다. 여름방학 때도 학점을 따고 강의를 듣는다. 도서관도 24시간 개방돼 있고 세미나를 자주 열고 실험토론 ... ...
- 5. 선배가 걸어온 길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그때부터 시작된 것이다. 또 몇년 후에는 고학년의 과목을 맡을 기회가 돌아왔다. 그러한 과목은 나 자신도 배워보지 못하였으므로 스스로 공부하면서 강의해야 했다. 그것은 강의가 아니라 내가 이해한 부분을 학생들에게 전달했다고 함이 옳을 것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교육이 허용된 것은 당시 ...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입증된 개념이다. 정규대학 물리학과 4학년을 마친 학생이라면 양자역학이란 과목에서 신물이 나도록 반복해서 들었을 중복원리(super position principle)가 바로 이것이다.그렇다면 |지킬>은 |선>과 |악>이 어떤 비율로 섞여 있을까. 여기 대해서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섞임 각도'(mixing angle)로 불려지는 이 ...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외국어 그리고 철학을 보는데 철학은 주로 공산주의 이념관계를 다룬다.대학원교육은 3,4과목의 시험은 치르고 연구논문을 작성한 후 마치는데, 이 때 받는 학위는 Candidate of Science. 다른 나라의 박사학위에 해당된다. Doctor of Science도 있는데 이는 주로 학문의 절정기에 거대한 논문을 작성한 후 받는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