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말했다. 어린 시절 엔지니어인 아버지가 곧잘 기하학을 알려줬지만, 부모님 누구도 공부하라거나 수학자가 되라고 강요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진로에 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며 수학자의 길을 걸었다.부아쟁 교수는 응용수학자인 남편과 사이에 5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이 중 첫째 딸은 ... ...
- 인터뷰. 한국 최고의 데이터분석관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될 수 있다는 건가요?아니요. 지금 데이터분석관을 꿈꾸는 청소년이라면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거의 처음 데이터분석관이 된 사례기 때문에 특이한 경로로 입사했지요. 그러나 데이터 야구가 활발해질수록 한국 구단도 미국처럼 전문성을 갖춘 사람을 찾게 될 거예요. 실제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끝끝내 말을 아꼈습니다.문제 외에도 Simon 친구는 최근에 베르누이 수열을 알게 됐다며 공부하다 모르는 수학 개념이 나왔을 때 정보를 찾는 방법을 물어봤어요. 이에 백진언 연구원은 인터넷에서 직접 베르누이 수열을 검색하며 수학에 관한 정보를 찾는 노하우를 전수했습니다. 과연 백진언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통계는 화면을 다루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에 광범위하게 쓰이므로 잘 공부해두는 게 좋아요. 미래의 개발자들에게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후배들을 가르쳤을 때 느낀 건 적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었어요. 전공을 하더라도 나중에 적성이 맞지 않아 포기하는 경우를 많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큰 관심은 없었다고 했다. 어린 시절 엄마에게 “과학이나 수학을 하는 학교에서는 공부하고 싶지 않다. 그 사람들은 뭔가 평범하지 않다”고 말했을 정도라고. 우주인으로 비행을 세 차례나 한 베테랑 우주인이라면 당연히 어릴 때부터 과학이나 수학을 사랑했을 것만 같은 선입견을 완전히 깨는 ... ...
- [나의 영국 유학일기] 재시험 낙제하면 강제 휴학, 깐깐한 임페리얼칼리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석사과정도 한국과 달리 1년 코스로 짧은 편이다. 그래서 1학년 때부터 전공을 깊게 공부한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임페리얼칼리지에는 수강신청이라는 게 없다.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미리 학과에서 시간표를 만들어 업데이트할 뿐이다. 해당 시간표는 학교 e메일 계정과 연동돼 있어서,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법칙’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물리학이라면 이렇게 제안할 수도 있다. “상대론을 공부해봐!”물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이작 뉴턴은 우선 관성계(가속하지 않는 물리계로 정지해 있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계)를 정의하고, 관성계에 적용되는 운동법칙을 밝혀냈다. 모든 관성계는 ... ...
-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열심히 했어요. 대학교에서도 제가 좋아하는 대수학, 갈루아 이론, 위상수학을 열심히 공부하며 학교에서 열리는 파티에서 디제잉을 했죠. 고등학생 때는 수학자를 꿈꿨는데, 결국 음악에 더 열정이 있다는 걸 알 게 됐어요.Q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조언 부탁해요! DJ가 특별한 직업이라 ...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분야로 떠올랐죠. 그걸 계기로 유학을 가서 캐나다와 영국에서 암호와 정보 보안을 공부했어요. 앞으로 보안 분야의 전망은 어떤가요?지금은 데이터가 돈이 되는 시대예요.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사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죠. 또 IoT나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처럼 앞으로는 모든 것들이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천문학을 전공한 이원철, 최초의 공학박사는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화학공학을 공부한 최황이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 학업에 매진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박사학위를 받은 조선인을 채용하는 곳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의·약학 분야는 조선인 박사가 무려 34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