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d라이브러리
"
고리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어느 나라를 가든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자동로밍 서비스는 복잡한 연결
고리
를 갖고 있다. 편리한 만큼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많다. 자동로밍 서비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파수와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휴대전화는 무선으로 서로 통화하는 것을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껏해야 부귀 영화가 전부였다. 그러나 그런 것을 원한다면 악당 노릇을 때려 치우고
고리
대금업을 하거나 카지노를 운영하는 게 나을 것이다. 이에 비해 현대의 악당은 악당이 될 수밖에 없는 숙명을 타고난다. 그들의 목적은 더이상 부귀영화가 아니다.슈퍼 히어로 시리즈의 성공 여부는 악당에 ... ...
얼음 목걸이 두른 태양계의 꽃미남 토성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9년에 2번씩 지구에서 바라보는 시선과 나란해질 때 보이지 않게 된다. 보이저는 이런
고리
속을 과감히 뚫고 지나가기도 했는데, 다행히 기체는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았다. 2004년 크리스마스가 기다려지는 이유토성탐사 후 보이저 1·2호의 비행경로는 판이하게 달라졌다. 보이저 1호는 토성만을 ... ...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물질이 밀집된
고리
에 의해 둘러쌓인 채 빠르게 회전하는 블랙홀이 된다. 이 물질의
고리
와 블랙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별로부터 폭이 좁고 강력한 광선이 두 방향으로 뻗어나가는데, 이 방향 중 하나가 지구 쪽이면 관측 가능하다. 처음에 이 광선이 나오는 현상이 바로 감마선폭발이라고 한다. ... ...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작아진 현상이 바다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기 위해서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
고리
관이 작으면 회전했을 때 뇌에 전해지는 충격이 적다. 따라서 갑자기 각도를 틀며 헤엄칠 때 고래는 현기증을 덜 느낀다는 설명이다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5만장이 넘는 사진을 촬영하고 관측했다. 목성의 이력서를 새로 쓴 업적에는 희미한 목성
고리
의 발견 등 여러가지가 있었다. 무엇보다 큰 업적은 이오 위성에서 분출물이 2백km나 솟아오르는 화산활동의 현장을 뜻밖에 생생히 목격한 것. 지구 밖에서 생동하는 지각을 가진 천체를 최초로 발견하는 ... ...
청바지 염료 생산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인디고의 전구물질인 인독실로 변형시킨다. 트립토판의
고리
구조를 이용해 염료 분자의
고리
구조를 만든 것이다. 인독실이 공기와 접촉하면 바로 푸른색을 띠는 인디고로 변한다.제낸코어 인터내셔널사 부사장인 두그 크랩은 “박테리아가 생산한 인디고의 푸른색이 화학적으로 생산된 염료의 ... ...
단백질 추적하는 신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각종 색깔의 형광물질을 비롯해 다양한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일종의 ‘연결
고리
’이기 때문에 연구자는 여기에 원하는 ‘표지’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그들은 이 방법을 이용해 ‘커넥신 43’이라는 단백질이 합성돼 소포체를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아무리 선명한 날이라도 맨눈으로 목성 주위를 도는 4개 위성이나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
를 보기는 어렵다.이런 인간 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 바로 망원경이다. 렌즈가 발달하기 시작한 이래 인간은 더 멀리, 더 정확하게 보기 위해 망원경의 성능을 개선해 왔다.특히 전파망원경은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사항이리라. 하지만 김단장은 흥미롭게도 자신의 역할을 연결
고리
로 표현했다.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상당히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연구들을 서로 연결해 유기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김단장은 그 역할을 소화하고 있다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