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헷갈린 과학] 똑같은 거 아녔어? 요가 VS 필라테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때문이죠. 요가는 매트 위에서 자기 몸의 무게를 견디며 하는 운동이에요. 여러
가지
동작을 하며 명상을 함께 하는 것이 특징이죠. 신체 강화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긴장, 불안을 해소하며, 긍정적인 사고를 기르는 것도 요가 운동의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린이 요가는 집중력을 높이고 ... ...
[이슈] 눈사람도 별모양도 무엇이 똑같을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6호
겹치는 도형이에요. 이때 고정된 점을 ‘대칭의 중심’이라고 해요. 그렇다면 위의 네
가지
장식 중 점대칭 도형은 뭘까요? 바로 원 모양과 마름모 모양이에요. 별 모양과 종 모양은 180° 돌리면 처음의 모양과 완전히 겹치지 않고, 원과 마름모 모양은 완전히 겹치지요. 원과 마름모 모양은 선대칭 ... ...
모든 길을 한 번씩만 거쳐서 이동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6호
이동 경로를 찾아야 하지요.” 뿔테 안경을 쓴 순록이 나섰어요. 한 번 갔던 길을 다시
가지
않고 모든 마을을 들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겠대요. 아래 보이는 그림은 ‘어수동 나라’의 지도예요. 마을 6개를 둘러싸고 강이 흐르고 있고, 각 마을을 잇는 다리나 길이 모두 11개 있지요. 어떻게 하면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조선을 일으켜라! 최석정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6호
대신 문자를 쓸 수도 있지요. Q. 이렇게 복잡한 숫자표는 왜 만드는 거예요? 수의 여러
가지
규칙과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서예요. 그 원리를 이용해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계산하기도 해요. 또 오늘날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에 없어선 안 되는 ‘반도체’에도 이용된답니다. 회로에 신호를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사라진 샤롱가! 어떻게 납치된 거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6호
오지 않아요. 혹시 수상한 사람 안 보여요?”“전부 다 수상해 보여!”아닌 게 아니라 갖
가지
옷차림을 한 다양한 종족이 우글대고 있으니 모두가 수상해 보였습니다. 딱지는 두 팔이 옷에 꽉 끼어 있어서 다른 사람과 부딪힐 때마다 중심을 못 잡고 비틀거렸습니다. 누가 돈 가방을 훔쳐 가도 모를 ...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5호
살펴 낮이든 밤이든 시간을 알 수 있어요. 김상혁 연구원은 “세종 시대 만들어진 16
가지
천체 관측기구 중 남은 것은 거의 없다”며, “일성정시의는 세종 시대 천문학의 수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라 설명했지요. ●인터뷰김상혁(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제 눈으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청량한 콜라로 톡 쏘는 실험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5호
색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가져와 대장균 안에 주입했어요. 이 각 대장균은 원래 7
가지
색소를 만들 수 없어요. 이후 대장균에게 세포 안에서 색소로 변환될 포도당과 글리세롤을 먹이로 줬어요. 그러자 대장균은 대사 활동을 통해 이 먹이를 색소로 바꿨지요.연구팀은 미생물을 조작해 무지개 ... ...
[특집] 눈은 어떤 모습으로 내려갈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5호
함박눈과 달리 바늘이나 기둥 모양의 눈 결정으로 이뤄진 경우가 많아요. 눈 결정에 곁
가지
가 없어 서로 엉겨 붙기 어렵지요. 또한 건조한 날에 생기기 때문에 눈 속 수분도 적어 잘 뭉쳐지지 않아요 ... ...
[이달의 과학사] 1897년 8월 10일 진통제 아스피린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5호
무려 기원전 약 2000년에 만들어진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에 적혀있을 정도로 긴 역사를
가지
지요.이렇게 오랫동안 버드나무를 진통제로 사용했음에도, 버드나무에서 진통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 무엇인지 밝혀진 것은 19세기에 들어서였습니다. 1828년, 독일의 약사인 요한 뷔히너가 버드나무 껍질에서 ... ...
[특집] 눈 결정은 육각형에서 자란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5호
할 수 있지. 눈 결정의 기본은 ‘육각형’눈 결정의 모양은 각기 다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육각형을 발견할 수 있다는 거예요. 기둥 모양이나 바늘 모양의 눈 결정도 위에서 보면 육각형을 확인할 수 있어요. 왜 그럴까요? 눈 결정의 씨앗 역할을 하는 얼음 알갱이는 ‘물’이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