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운데"(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만이다.볼록 오각형은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의 조건을 만족한다. 정다각형 가운데 내각★의 크기가 360° 의 약수인 경우는 정삼각형(60°), 정사각형(90°), 정육각형(120°)뿐이다. 즉, 정오각형 모양의 타일만으로는 바닥을 빈틈없이 덮을 수 없다. 그리고 변의 개수가 6개를 넘는 볼록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제 오늘의 주인공 게임이에요. 색깔이 같은 컬러몬스터 3마리가 나란히 배열돼 있을 때 가운데 몬스터를 눌러 사라지게 만드는 ‘컬러몬스터’ 게임! ‘애니팡’하고 원리가 비슷하지요. 사실 이날 게임카페 세 번째 수업에는 숙제가 있었어요. 바로 게임의 스토리를 구상해 오는 거였지요.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때문에, 이 논에서만 모두 150마리의 수원청개구리가 자연으로 돌아갔다. 장 교수는 “이 가운데 10%(15마리) 정도만 살아 나가도 큰 성공일 것”이라며 “방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3일마다 와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실제로 있을 법한 우리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주인공을 제외한 등장인물 가운데 유일한 동성인 ‘최고야’ 씨(가명)는 주인공과 같은 고등학교를 나왔고 전공과 장래 희망도 비슷하다. 하지만 주인공보다 성적이 좋고 주인공이 속한 대학 동아리에서 최고의 실력자로 평가받는 ‘에이스’다.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돌로 만들었다고 믿을 수 없을 만큼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었다. 가장 큰 차이는 주택의 가운데 놓인 파티오의 모양과 크기다. 밀라 주택 뒤쪽의 파티오는 원형이며 크기가 상당히 크다. 건물로 둘러싸인 파티오는 마치 오목한 거울이 빛을 모으는 것과 같이 빛을 모아 블록 전체에 빛을 제공한다.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 수준일 정도로 컸다. 인류학자들은 이 종이 강력한 신체적, 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인류 가운데 처음으로 아프리카를 벗어나 전세계로 퍼졌다고 봤다.호모 에렉투스 이후, 아프리카에서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등 다양한 호모 속 인류가 나타났다. 유럽에서도 약 20만 년 전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능력이 높다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불확실성은 SNP의 본질적인 한계다. 실제로 SNP는 DNA 가운데 극히 일부분이고 전부 밝혀지지도 않았다. 게다가 SNP를 분석하는 방식도 회사마다 차이가 난다. 하나의 기능에 수십 가지 SNP가 관여하다보니, 어떤 SNP에 가중치를 더 많이 주느냐에 따라 같은 사람의 SNP를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알아맞히고 순서대로 코너를 돌아 가장 먼저 결승점에 들어온 썰렁홈즈. 기진맥진한 가운데 우승했다는 기쁨이 밀려오는 그 순간!“축하합니다! 가장 먼저 결승점에 들어오셨군요. 그런데 어쩌죠? 글쎄 세워 둔 우승 트로피가 홀라당 넘어지면서 네 조각으로 조각나 버리고 말았어요. 우리 대회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당시 숭례문 복원 사례는 다양한 보고서로 나와 있는데, 그 가운데에 숭례문 현판의 단청 안료를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해 조사한 부분도 있습니다. X선 형광분석기는 시료 속 원소가 에너지를 흡수했다 방출하는 패턴을 분석하는 장비입니다.이 패턴을 보면 어떤 원소가 ...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3기의 활동을 시작하는 행사예요. 이 날 발대식에는 3기 탐사대원인 전국 285팀 1100여 명 가운데 67팀, 210여 명이 참석했어요. 수원청개구리, 매미, 귀뚜라미 탐사를 이끄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꿀벌과 밀원식물 탐사를 뒷받침할 농촌진흥청 이명렬 박사, 올해 처음 시작된 귀화식물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