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3,4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02
러시아는 따뜻한 기후를 원하고 인도는 시원한 기후를 원할 수도 있다. 지구공학은 다른
나라
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역 기후만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다.19 도덕적 권의에 대한 질문의도치 않았겠지만 인간은 편한 삶을 위해 환경을 파괴해 왔다. 그렇다고 기후를 되돌리기 위해 성층권에 햇빛을 가릴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02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당장 앞서 가고 있다고 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과연 우리
나라
최초의 중성미자검출기가 세계 최초로 중성미자의 비밀을 밝히는 영광을 차지할 수 있을까. 3년 뒤 좋은 소식이 들려오기를 기대해 본다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02
우리에게 백의의 천사로 알려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남긴 말이다. 나이팅게일은
나라
를 바르게 운영하려면 통계를 잘 이용해야한다고 믿었다. 사랑과 희생으로 전쟁터를 누비며 죽음의 문턱에서 병사를 구한 여성으로만 알았던 나이팅게일의 과학자적인 면모를 살펴보자.[나이팅게일이 자신의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02
독재에 저항하다 고문까지 당해1944년 중미 온두라스에서 태어난 몬카다 박사는 이웃
나라
엘살바도르에서 유학해 의과대학을 나왔다. 그러나 그의 앞에는 의학자로서의 평탄한 길이 놓여 있지 않았다. 엘살바도르 극우정부의 독재가 심해지자 그는 좌파조직에 가입해반독재 투쟁에 나섰고 결국 ...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02
말은 돌이나 나뭇가지, 바둑알처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했다. 각
나라
의 고누도 기본적인 놀이 방법은 비슷하지만 말판 그림과 말의 수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누는 ‘고노다’ 명사형인 고노에서 비롯된 말인데, 고노다는 잘되고 못됨을 살펴 점수를 매기다를 뜻하는 ‘꼲다’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
수학동아
l
201102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볼링은 금메달 8개와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따내 우리
나라
가 종합 2위를 하는 데 효자노릇을 톡톡히 했다. 특히 볼링 국가대표 선수 중에는 아시안 게임 24년 만에 4관왕 쾌거를 누린 황선옥 선수가 있다. 지난 1월 11일 태릉선수촌 볼링 경기장에서 황선옥 선수를 직접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02
다양한 분야의 문제가 소개된다.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의 문제도 출제됐다. 질문은 “이
나라
의 김연아 선수는 2010 밴쿠버올림픽의 프리스케이팅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땄다”였다. 당연히 정답은 “한국”이다. 우리는 다 아는 쉬운 문제지만 처음 버저를 누른 미국 출연자는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02
한사람에게 예외 규정을 두면 안 된다. ‘전통놀이 삼국대전’ 윷놀이에서 만약 당
나라
가 자신들의 땅을 모두 걸어야 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다. 셋 이상이 놀이를 할 때는 둘의 협력에 따라 승부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따라서 둘씩 짝을 이루거나 꼴찌에게 가혹한 벌점을 줘 모두가 최선을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02
지곡초에서는 수학동아 2010년 12월호의 특집기사 ‘대칭으로 풀어본 분자
나라
의 신비’ 를 쓴 장경아 기자가 직접 MIE(Magazine In Education)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방학 중에도 학교에 꾸준히 나와 수학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는 4학년 수학반 학생들과 함께했지요.사실 기사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02
수는 없다). 정 교수는 “그래프가 그리는 ‘피크’의 모양을 보면 가능하다”며 “우리
나라
과학논문을 이용해 비슷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단어로 질병 확산을 예측하는 연구도 있다. 2009년 초, 미국 애틀랜타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의 린네트 브라머 박사와 구글의 레리 브릴리언트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