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1세기 논리학 컴퓨팅적 사고를 키운다Q 컴퓨터 공학은 어떤 학문인가요?A 100
년
전 사람들은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컴퓨팅적 사고란 우리가 풀기 어려운 아주 복잡한 문제를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 형태로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게 더 쉬워. 힘을 들이지 않아도 모세관으로 잉크가 술술 나오거든. 이번 시험 공부는 만
년
필로 하는 게 어때? 김호영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호기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다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밝혀낼 수도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
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
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블랙홀 근처에 있어 지구에 비해 중력이 어마어마했다. 단 2시간 가량의 탐사로 무려 23
년
을 허비했다.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 것은 더욱 치명적이었다. 엄청난 중력장에 있었기에 지구로 돌아온 아버지는 지구 기준으로 124살이 되었다.웜홀, 아직 증거는 없다영화 제작 과정에 웜홀로 시간여행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강조했고 수학적 사물의 존재 자체가 공리에 의존한다고 믿는 전통을 형성했다.1930
년
대에 증명된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수학을 공리화하는 게 근본적으로 불가능함을 보였다. 공리체계를 어떻게 정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참과 거짓을 결정할 수 없는 수학 명제가 얼마든지 있음을 보였기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돼 있으니, 돌이켜 보면 참 신기할 정도예요. 지금도 그때 당시 같이 일했던 사람들과 10
년
째 함께 하고 있답니다.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어딜 가든 함께 하는 주변 사람들이 중요하다는 걸 친구들이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가둬 핵융합을 일으킨다.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물리공식인 ‘E=mc2’은 아인슈타인이 1905
년
‘질량-에너지 등가원리’를 다룬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공식은 원자핵 반응에서 나타나는 질량결손(줄어듦)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음을 암시했다. 하지만 정작 아인슈타인 본인은 이 사실을 깨닫지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유지할 수 있을까. 바로 이 부분이 연구자들의 최대 고민이었다.다행히 인류는 수십
년
의 연구를 통해 이 괴물 같은 자연과 싸워 이기는 방법(열 비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어느 정도 터득했다. 그런데 자연은 결코 만만치 않아서, 이번에는 새로운 카드로 연구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바로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행성 과학자들이 미래에 가장 잘 나갈 만한 분야로 꼽는 게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
년
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
년
귀환할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저녁 영국 스코틀랜드 던디 시에는 초속 30m에 가까운 매서운 바람이 몰아쳤다. 지은 지 1
년
이 지난 테이교 위를 기차가 지나가던 순간 붕괴가 일어났다. 당시 기차에 탄 70명 전원이 죽거나 실종됐다. 조사 결과 바람이 주는 압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설계가 참사의 주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 ... ...
이전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