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스페셜
"
현대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학자들에게나 필요한 과학 개념만을 가르치는 대신
현대
과학이 제시해주는 우주관·자연관·생명관을 가르치는 것이 융합과학의 목표다. 단순히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개념의 범위가 아니라 교육의 내용에서부터 문·이과 구분을 철폐해야 한다는 뜻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카렐(Alexis Carrel). 위키피디아 제공 ● 이식수술 발전의 원동력이 된 기술과 지식
현대
의학은 공여할 장기만 있다면 이식을 통해 죽어가는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이와 같은 발전이 이루어진 것은 수술성공률을 좌우하는 다양한 의학적 지식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195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carbon culture)의 창달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막중한 시대적 당위다. 특히
현대
과학기술의 가치와 성과를 분명하게 평가해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친(親)탄소적이고, 친(親)과학적인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탄소가 인간의 존재와 인류 문명을 가능하게 만들어준 가장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기술로 만든 인슐린 프로젝트에 뛰어들었다. 유전자 재조합에 의한 약이 발전시킨
현대
의학 20대의 스완슨(Robert A. Swanson)이 코헨과 보이어가 유전자 재조합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잠시 쉬고 있던 중이었다. 벤처투자 회사에서 일을 하다 쉬던 중에 우연히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6시에서 잠잘 때까지로 정의한 뒤 저녁에 섭취하는 칼로리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게
현대
인의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 결과 2형 당뇨병, 비만 등 대사질환이 늘어난다는 것으로 사실 익숙한 내용이다. 저자는 최적의 식사 시간이 왜 시간제한섭식인지를 포도당 대사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도 고래도 포유류인 이유, 두개골 화석에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영국 유시버시티 칼리지 런던 유전·진화·환경학과 연구팀은 7000만년 전부터
현대
에 이르기까지 포유류 두개골의 진화 과정과 속도를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28일자에 발표했다. 포유류는 백악기와 팔레오기의 경계인 약 6600만년 전까지 빠르게 다양화되다가 점차 변화하는 정도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신학 또는 성서의 해석이 의학발전을 지체시키기는 하지만 가로막지는 못했다. 아무리
현대
인들의 지식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져서 첨단학문을 발전시키고 있다 해도 진리는 단지 그 시대의 진리일 뿐이며, 미래에는 현재의 진리가 잘못되었음이 알려질 수도 있으므로 학자들은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
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해일 등 거대한 자연재해 속에서 인류가 유일하게 살아남을 수 있는 수단으로 거대한
현대
판 '노아의 방주'가 등장한다. 지난 9월 9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기후임계점’ 평가 결과가 공개됐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변하고 있는 16가지 기후전환요소를 대상으로 현재의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뜻이다.
현대
화학의 핵심인 화학열역학과 유기화학도 자취를 감춰버렸고,
현대
생물학의 핵심인 진화론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완전히 퇴출되어 버렸다. 언론을 통해 떠들썩하게 알려졌던 ‘코딩’ 교육에 대한 의지도 실망스럽다. 중학교의 ‘과학/기술‧가정’이 ‘과학/기술‧가정/정보’로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1958년, 1980년 화학상을 두 번 받은 이후 처음이다. 생리의학상은 멸종한 고대인과
현대
인의 유전자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한 스웨덴 출신의 인류학자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이 받았다. 인류학자가 노벨상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