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는 오직 자기 자신만을 용서할 수 있다2022.07.02
- 지키겠다고 결과적으로 계속 내 생각만 하며 이기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타인에 대한 미안함을 굳이 나를 향한 미움으로 바꿀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미워하는 마음으로 인해 바뀌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기억하자. ※관련자료 Hall, J. H., & Fincham, F. D. (2005). Self ... ...
- 정부가 도입 추진하는 원숭이두창 3세대 백신…2세대와 우열 가리기 아직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2022.06.08
- 줄였다. 강창경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피부 병변이 생기지 않고 자가 접종 혹은 타인으로의 전파 위험이 없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3세대 백신으로는 FDA가 지난 2019년 승인한 ‘진네오스’가 있다. 덴마크 생명공학기업 바바리안노르딕이 개발한 두창 백신이다. 28일 간격으로 2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은 언제나 아프다2022.06.04
- 않다는 것이다. 우리가 진짜 두려워해야 할 평가의 상황이 그렇게 많지 않다면 늘상 타인의 시선을 두려워할 필요 또한 없는 것이다. 어쩌면 두려움도 그냥 나의 습관일 뿐일지도 모른다. 가상의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몸이 굳어 올 때, 이것이 진짜 두려워해야 할 상황인지 아니면 별 중요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성애자가 성소수자 권리에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2022.04.30
- 권리를 위해 함께 싸우는 이들 같이 남의 일에도 발 벗고 나서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타인의 권리에 무관심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생겨나는 데에는 어떤 요소들이 존재할까. 뉴욕대의 심리학자 모린 크레이그에 의하면 '구조적 차별의 존재'에 대한 믿음 여부가 일부 이러한 차이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감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2022.04.23
- 본다. 모두가 나만 잘 살면 된다고 외치는 사회에서는 나만 타인을 해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 또한 나를 해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자신에게도 해로운 길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주장을 하는 배경에는 어쩌면 자신의 상태와 필요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부재가 깔려있는 것은 아닐까? 감정을 적응적으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과학동아 l2022.04.02
- 오미크론 변이는 검출률이 2월 이후 한 달 새 약 10배 증가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타인을 감염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15%가량 짧은 것으로 알려졌다.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가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세포에 더 쉽게 침투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 ...
- "진통 오면 어디로 가나"…분만실 부족에 임신부 불안 최고조연합뉴스 l2022.03.16
- 진단키트를 4개나 썼다. 사무실에선 마스크를 벗지 않고 식사도 따로 하지만, 조금이라도 타인과 접촉이 생겼을 땐 귀가 전 음성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A씨는 "누가 보면 유난스럽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막달에 확진이 됐다가 진통이 왔을 때 병원에 가지 못하면 태어날 아이의 생명이 위험해질 ... ...
- 이웃집 사는 경찰관의 시시콜콜한 정보 흘렸더니...동네 범죄율 뚝 떨어졌다동아사이언스 l2022.03.04
- 적용한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타인과 느끼고 있는 유대감을 합리적 근거 없이 타인도 동일하게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현실에선 마주친 적이 없는 연예인에 친근감을 느끼는 현상이 대표적 사례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휴리스틱이 익명성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2022.02.20
- 않는다는 점에서 더 타인의 고통을 쉽게 웃어넘기고 자신은 아무런 잘못도 하지 않았다는 뻔뻔한 태도가 더 쉽게 전염되는 듯 보인다. 피해자가 입은 피해는 온전히 그 사람의 정신력이 약한 탓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본 적이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이해2022.02.12
- 같다. 결국 지혜로움, 현명한 판단력, 성숙한 이해 등은 (가치관이나 도덕관은 제외하고) 타인을 판단하는 잣대나 자신에 대한 믿음 같이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더 갈대처럼 푹푹 꺾일 때 나오는 것이 아닐까? ※참고자료 -Baron-Cohen, S., Leslie, A. M., & Frith, U. (1985).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