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인기검색어
창의적인
전기
실험
로봇
동물
수학
세트
스페셜
"
창의적인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내용이 중복되는 측면이 많다”면서 “어느 정도의 중복은 어쩔 수 없지만 대학은 좀 더
창의적인
연구를 하도록 유도하고 연구원은 국가가 요구하는 대형 과제에 집중하도록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학과 연구원, 연구원과 기업의 교집합은 줄이고 차집합은 늘리자는 얘기다. 이런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진입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역사에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이 시점에 지적 호기심을 가진
창의적인
학생들이 연구에 매진하여 기술혁신을 이룰 수 있다면, 윌리엄 쇼클리 이후의 전통적인 기술적 토대를 완전히 바꾸어놓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습니다. 우수한 한국의 인재들이 새로운 ... ...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활동 중임 o 아울러, 고교 2학년 재학중에 ‘서울버스’앱을 개발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창의적인
공공 데이터 활용모델을 보여주었던 유주완 서울버스모바일 대표는 자신의 경험을 살려 ‘창의’와 ‘혁신’에 대해 기조연설을 한다. ※ 서울버스 앱 :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버스 도착 정보를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바이오산업이 국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며 BT관련 연구자들이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축사를 전했다.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의 규모가 연평균 9.8%의 성장률로 성장하는 등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최대한 깐깐하게 해야 한다”면서 “이렇게 선발된 인재들에게 토양을 만들어 준다면
창의적인
연구성과도 곧 따라오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어르빈 네어 교수의 ‘이것만은 꼭!’ △창의적 연구 도전이 세계적 발견 이뤄 △기초과학 지원은 중장기적으로 지원해야 △연구 책임자 선발은 최대한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창업서 중요한 것은 원천 기술 박 CTO는 연구 기술을 사업화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는가’의 여부라고 강조했다. 육질이 좋은 고기는 소금만 뿌려서 익혀도 맛있듯이 좋은 아이디어는 그 자체로 사업화하기 쉽다는 얘기다. “개별 연구자가 지금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학자라면 연구자 스스로를 믿으며, 고정관념에 끊임없이 도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기념으로 방한한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는 지난 3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동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자율성도 필요하다. 장 센터장은 “신약개발은 이라는 위험산업에 뛰어들려면 무엇보다
창의적인
인재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며 “조직의 장에게는 인력을 운영하는데 자율성이 꼭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종환 센터장의 ‘이것만은 꼭!’ △인재가 답. 신약사업을 키우려면 연구기관의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측면에서 연구수준을 평가한다면 연구가 얼마나
창의적인
지, 결과를 지식재산화 했는가 두 측면에서 봐야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고충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장(LG전자 상무)는 지식재산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제한된 연구비로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줄기세포 연구는 수월성 경쟁에서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김동욱 세포응용연구사업단장(50)은 연세대 의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