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스페셜
"
주장
"(으)로 총 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감마선 쌍으로 소멸할 것이므로) 전자와 질량이 같은 미지의 입자가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디랙은 즉시 오펜하이머가 비판하는 바의 중요성을 알아차리고 이듬해 발표한 논문에서 “실험물리학에서 아직 밝혀내지 못한 새로운 종류의 입자로 전자와 동일한 질량과 전하량(절대값)을 지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정체성이 황당하다. 과학기술 인재의 양성이 과학기술정책의 핵심이라는
주장
은 어처구니없는 궤변이다. 인재 양성이 과학기술정책의 핵심이라는 오해는 학생의 적성을 억압하는 잘못된 ‘문‧이과 구분 교육’의 전통에서 시작된 착각일 뿐이다.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KAIST 등 4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하고 있으니 ‘단백질 섭취량 증가가 면역에 도움이 될 것’이라
주장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장
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시비를 걸지 않으면 진리처럼 받아들여지게 되고 나중에라도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이 이의를 제기하면 그 때부터 학문적 논쟁이 벌어지게 된다. 새로운 전염병이 수시로 나타나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선진 연구개발 현장을 체화(體化)해야 한다’는 조성경 제1차관이 취임사에서 밝힌
주장
은 어처구니없는 것이다. 그런 지적은 오래전에 수명이 끝나버린 패스트 팔로어 시대에나 어울렸던 낡고 퇴행적인 인식이다. 선진국의 최고 연구기관이 돈 보따리만 들고 가면 누구에게나 연구개발 현장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특정 세균이 특정 감염병의 원인임을 증명하려면 아래 네 가지 원칙을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1. 병원균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동물에서 발견되어야 한다. 2. 병원균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동물로부터 배양되고 순수하게 분리되어야 한다. 3. 분리된 병원균을 건강한 실험동물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매매 합법화하면 성폭력 줄어들까
2023.09.02
대해 결국 남성의 통제할 수 없는 성욕이 문제이므로 성매매를 합법화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
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우선 정말로 남성의 성욕이 문제인 것이라면 성욕을 통제할 수 있게 교육하거나 통제가 안 되는 경우에는 사회에서 격리하는 등의 보다 근본적인 해결법이 있을텐데 왜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드러나기도 하는 과학기술의 냉혹한 현실도 무시해버렸다. 상온 초전도체의 개발을
주장
하는 두 편의 서로 다른 원고가 동시에 발표되는 ‘비정상’은 언론이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심각한 사안이었다. 개발에 참여했던 연구진이 서로 다른 논문을 발표하게 된 이유와 경위를 확실하게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형질 획득 또는 일부 학습 정보들이 유전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라마르크가
주장
했던 ‘획득 형질의 유전’은 아주 특정한 경우에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후성유전학이라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이 생식세포 내에서 작동함으로써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느리다는 사실로부터 미아즈마가 아닌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병이라는
주장
에 동의하고 있었다. 의사가 된 후 산부인과와 외과의사로 활동하던 그는 1853년에 런던에서 콜레라가 유행하자 지도에 환자의 주소지를 표시해 보았다. 런던에 있던 두 상수도 회사의 공급지역을 조사한 그는 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패권 경쟁과 초저성장의 위기에 빠진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서 과학기술이 필요하다는
주장
은 지나치게 구태의연한 것이다. 누구나 당연하게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국민을 설득할 수 없다. 혁신적으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다양화‧다원화를 절대 외면할 수 없는 민주화된 과학기술 사회에서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