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OOD PEOPLE
보디가드
예스
감각내의
스페셜
"
좋은사람들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신은 수없이 반복한 익숙한 내용이기 때문에 해당 지식을 처음 접한 사람이 겪게 되는 당황스러움과 어려움, 궁금증 등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은 의외로 흔한 모양이다. 일례로 어떤 분야에서 경력과 지식이 많은 사람이 사람들을 잘 가르칠 것 같지만, 의외로 그렇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누구나 한 번쯤은 실수를 한다고 하지만 실수를 할 때면 뼈아픈 것이 사실이다. 특히 말도 안 되게 기초적인 부분에서 실수를 할 때면 이제껏 뭐했나 싶고 그간의 시간들이 의미 없게 느껴지곤 한다.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파란트로푸스. 위키피디아 제공 각각 흰옷과 검은 옷을 입은 선수들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흰 셔츠 팀의 패스 횟수를 세는 과제를 준다. 1분이 흐르는 사이 고릴라 분장을 한 사람이 나타나 가슴까지 두드리고 지나갔지만, 놀랍게도 실험 참가자의 절반은 패스 횟수를 세느라 이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상을 바꾼 작은 착상 연필 뒤에 지우개를 붙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전에는 연필로 뭔가를 잘못 쓰는 경우 지우개를 찾느라 시간을 보내는 일이 많았다. 둘을 함께 붙여 쓰는 아이디어는 초등학생들의 수업 준비와 진행을 한결 쉽게 했다. 고대부터 무거운 물건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만성통증 극복 운동은 '자주, 꾸준히'
2023.02.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크로스핏을 시작했다. 이제 막 2주차라 잘 모르겠지만, 트레이너 선생님 말에 의하면 크로스핏이란 심박수를 높이는 카디오(cardio) 운동과 근력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민첩성과 순발력을 요구하는 운동 등을 높은 강도로 반복함으로써 단 시간에 큰 효과를 내는 운동이다. 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류는 1만여 년 전부터 수렵채집 생활을 버리고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지만 엄밀히 말하면 수렵채집의 비율이 줄어든 것일 뿐 사라진 것은 아니다. 특히 밥과 반찬으로 이뤄진 우리나라 식단에서는 채집으로 얻은 다양한 식재료가 여전히 쓰이고 있다. 산나물비빔밥 집에서 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랑에 빠지면 눈에 콩깍지가 씌인다고들 한다. 밥을 먹는 것도 이뻐 보이고 썰렁한 농담도 재미있게 느껴지는 등 사랑하는 이가 하는 행동이라면 뭐든 좋게 보게 된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지면 정말 눈이 멀게 될까. 눈 먼 사랑은 괜찮은 걸까. 눈 먼 사랑의 힘 연구에 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의학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의 몸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학이 과학이라고? 의학은 생물체(사람)를 대상으로 하므로 물리나 화학법칙과 다르게 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한다는 이야기는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라는 글에서 이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등학교 1학년 때 화학 선생님은 젊고 의욕이 넘치는 분이었는데 그래서인지 화학의 기본은 주기율표라며 외우는 요령까지 알려주셨다. 열심히 따라했음에도 다 외우지 못했고 심지어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음에도 오히려 기억 속의 주기율표는 부실해졌다. 그럼에도 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을 자랑하지 않아야 행복하다
2023.01.14
핀란드 사람은 행복지수가 높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핀란드 사람들은 왜 이렇게 행복할까. 핀란드는 벌써 수년 째 여러 문화권에 걸쳐 행복과 관련한 대규모 조사에서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여러가지가 제시되고 있지만 몇 가지 주로 이야기 되는 것이 바로 “자신의 행복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