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스페셜
"
작용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300km 길이로 남은 튀르키예 지진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모델링화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복잡한 파열 이력과 단층 간 상호
작용
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지진 규모와 공간 및 지질학 관측을 단층의 기구학적 전위 및 동적 파열 모델링과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동아나톨리아 단층을 포함한 최소 6개의 단층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류코트리엔이 혈액을 타고 뇌의 특정 영역에
작용
해 오발부민 용액을 기피하는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조건화된 맛 혐오뿐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도 기피 행동으로 이어져 독소가 추가로 몸에 들어오는 걸 막는다. 이처럼 정상적인 알레르기 반응의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
작용
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계 최초 '세포 지도' 완성…장기와 세포 상호
작용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7.22
조직 샘플에서 588개의 세포를 분석했다. 임신 6~20주 각 시기별 세포와 태반 간의 상호
작용
을 규명한 것이 주된 성과다. 각 연구를 이끈 연구팀은 이번에 확인된 세포 지도가 실질적인 인간 건강의 증진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질병과 각 세포의 강력한 연관성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것이다. 역시 널리 쓰이는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와 사카린도 정도는 다르지만 비슷한
작용
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흥미롭게도 이 과정에 단맛수용체의 구성원인 T1R3가 관여한다. 실제 T1R3 유전자가 고장난 장세포에서는 이런 영향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색 형광빛으로 보는 DNA 접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23.07.01
자가 조립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DNA가 RNA와 상호
작용
없이 정교한 3D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핵산 조직의 새로운 원리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
작용
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없을 것이라면서도 아직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 투여 실험 결과가 없어 효과나 부
작용
에 대해 확언할 수는 없다고 발을 빼는 모습이다. 수년 전 NAD+ 부족이 노화의 동인이라는 논문을 읽고 한동안 전구물질 보충제를 먹다가 비용이 부담스러워 끊었는데 지금 확인해보니 여전히 꽤 비싸다. 반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연구팀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를 만들고 층내 · 층간 엑시톤의 상호
작용
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육각형 형태의 질화붕소를 거푸집으로 사용해 유기 분자를 2차원 결정 형태로 쌓아 올린 층상 구조를 만들었다. 전기가 흐르지 않는 절연 소재인 질화붕소를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
작용
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