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후"(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2024.01.21
- 전문분야 이외의 일에 시간을 쏟는 것은 학문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사건 이후로 미국에서는 학교가 나서서 특허 등 지적재산권 분배에 관여하는 일이 강화되었다. 실제로 자본주의의 선진국임을 과시하듯이 대학에서 지적재산권 수입이 아주 미미한 우리나라와 다르게 미국의 대학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2024.01.20
- 생각하는 경우 그 계획은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무리해서 해내더라도 이후 몸과 마음에 청구되는 비용이 더 클 수도 있다. 꼭 이루고 싶은 작은 목표 하나를 나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해내는 것을 목표로 해보자. Buehler, R., Griffin, D., & Peetz, J. (2010). The planning fallacy: Cognitive, motivational, and social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2024.01.17
- 탱크로리에 실려있던 불산(불화수소)이 대량으로 누출되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일이다. 충치(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한 ‘수돗물 불소 농도 조정 사업’은 시행 38년 만에 완전히 중단됐다. 건설업체도 토양의 불소 오염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고 비명을 지르고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2024.01.03
- 음력설은 ‘옛날의 설날’이라는 뜻의 ‘구정’(舊正)으로 밀려나 버렸다. 해방 이후에는 정부가 이중과세(過歲)에 의한 불필요한 낭비를 막겠다고 음력 설날의 성묘와 세배를 금지하기도 했다. 비록 계절을 제대로 알려주지도 못하고 책력을 만들기도 어려운 태음력의 전통에 대한 우리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2023.12.23
- 공평할 것 같냐고 물었다. 그러고 나서 역시 다른 참가자에게 돈을 나눠주도록 한다. 이후 사람들에게 다시 돈을 얼마나 공평하게 나눈 것 같냐고 묻는다. 그러자 본인의 기준에서도 불공평한 적은 돈을 나눈 사람들이 공정하게 나눈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의 공정함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2023.12.03
- 장점이다.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라섹, LASEK,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은 2000년대 이후 라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각막 상피판을 제거하고 각막 실질은 표면을 깎아내는 방법이다. 수술방법에도 점점 변화가 생겨 현재는 라섹과 PRK가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해졌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2023.11.29
- 세월 선택을 통해 진화한 결과이고 여기에는 생물이 개입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 빅뱅 이후 우주에서 가능한 대상(objects)의 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늘겠지만, 선택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복잡도가 커질수록 복제수(copy number)는 적어질 것이다(왼쪽). 반면 선택이 일어났다면 관련된(진화) 대상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2023.11.25
- 이러한 아이들을 어떻게 도우면 좋을지 고민이라는 이야기였다. 관련해서 트라우마 이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충격적인 사건을 겪고서도 잘 회복하고 되려 이를 통해 더 ‘성장’했다고 하는 사람들의 특징에 대한 연구를 본 적이 있다. 다양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2023.11.19
- 손상이 가해지므로 성격이나 감정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1970년대 이후에는 이 수술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는 모니즈. 위키미디어 제공 ● 뇌의 기능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하는 정위기능신경외과학의 등장 기능신경외과학은 각종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2023.11.18
- 생각해 보면 배움이란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그 이후에 스스로 계속 그 내용을 반복해서 떠올리고 다시 저장하는 노력을 거쳐야만 비로소 머리 속에 자리잡게 된다는 사실이 한 몫 할 것 같다. 마치 음식을 먹기 쉽고 맛있는 형태로 떠먹여 줘도 그걸 씹어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