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한다. 같은 마이크로비드라면 같은 세포에서 나온 RNA란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름
표가 붙은 RNA를 한꺼번에 모아서 증폭 시키면 분석이 쉬워진다. 마이크로비드를 통해 표식을 붙였기 때문에 각 RNA가 어떤 단일 세포에서 나왔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RNA를 분석하면 어떤 DNA에 문제가 생겼는지 ... ...
[오늘과학] 분명히 목걸이인데...알고보니 흡연측정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카메라의 경우 사생활 보호 문제를 야기했다. 연구팀이 '스모크몬(SmokeMon)'으로
이름
붙인 목걸이는 센서가 열 신호를 감지해 눈에 띄지 않게 흡연 여부를 측정한다. 액세서리처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데다 흡연 측정기로 보이지 않아 사용자의 사생활도 보호할 수 있다. 연구팀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가 즐긴 음식이 그의 작위명인 샌드위치를 따서
이름
이 붙게 된 것은 함께 카드놀이를 즐기던 사람들 역시 자리를 뜨지 않은 채 샌드위치를 먹었기 때문이다. 이미 그보다 오래 전부터 빵 사이에 고기를 넣는 음식은 있었으므로 이 이야기는 믿기 어려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매생이에 바닷가를 여행하다 식당에 들어가면 ‘저런 것도 먹나?’라고 고개를 갸웃하는
이름
도 모르는 해조류도 많다. 해조류를 seaweed(바다잡초)라고 부를 정도로 사람이 먹을거리라고 생각하지 않는 서구인들은 해조류를 즐겨 먹는 동아시아인들을 이상하게 바라봤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 ...
[논문감시] 참여 연구자 모두 놓친 원자력의학원 실험 조작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논문이 실험 조작으로 철회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논문은 교신저자 1명, 참여저자 4명이
이름
을 올리고 있는데, 5명 모두 한국원자력의학원 소속이다. 교신저자의 실험 조작을 나머지 저자들이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나머지 저자들 대신 교신저자가 소속된 조직의 장이 실험 조작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1982년에 위염 환자에서 세균을 분리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라
이름
붙이고, 이 세균이 위염과 위궤양을 일으킬 것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자 과거의 연구자들처럼 위에서는 세균의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반대에 부딪히게 되었다. 마샬과 워렌은 그 때까지 치료가 어려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연구자들은 어는점 내림에서 힌트를 얻어 ‘이온칼로릭 효과(ionocaloric effect)’라고
이름
지은 현상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외부 전기장을 이용한 방식임에도 칼로릭 재료의 극성 변화에 따른 엔트로피 차이를 이용한 기존 방식과는 작동 원리가 전혀 다르다. 전기투석은 수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Robert Gallo)는 이 바이러스가 새로운 병을 일으키는 원인임을 증명했다. 초기에는 다른
이름
을 붙였지만 1986년부터 이 바이러스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아래 HIV)라 불리게 되었다. 바이러스가 발견되기 전까지 에이즈는 불치의 병이었다. 이미 바이러스가 충분히 증식하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Life Time’이라는 제목의, 생체시계를 다룬 책이 있어 재미있을 것 같아 보니 저자
이름
이 낯설지 않다. ‘러셀 포스터(Russell Foster)가 누구더라...’ 한참을 생각하다 ‘오리지널 논문’이 떠올랐다. 눈먼 생쥐도 여전히 일주리듬을 지닌다는 발견을 보고한 1991년 논문의 저자였다. 반가운 마음에 ... ...
2년 전 지구 떠난 화성탐사선...홍수·유기물·오로라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주목을 받고 있다. 퍼시비어런스는 고대 삼각주를 탐사하던 중 '와일드캣 릿지'라는
이름
의 퇴적암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유기물 및 광물 분석 장비인 '셜록(SHERLOC)'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유기물(방향족 탄화수소)을 발견했다. 2013년 NASA의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도 유기물 증거를 발견한 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