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어도 유전자 정보의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는 정교한 메커니즘이
생물
체에 존재한다. 바로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이다. 유전물질인 DNA에 메틸화 등의 표지를 붙여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거나, 마이크로 RNA등이 유전정보를 갖고 있는 DNA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해 작용한다(오른쪽). 셀 제공 지난 2021년 학술지 ‘셀’에는 ‘
생물
적 음식물 품질관리시스템’이라는 관점에서 음식물 알레르기를 다룬 논문이 실렸는데, 위의 여러 의문에 대해 꽤 그럴듯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동물은 영양분을 섭취하려고 먹이를 먹지만 독소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불과했다. 이유는 이들이 거주하고 일하는 곳이 비위생적이었기 때문이다. 이 때는 미
생물
을 발견하기 전이었지만 위생이 중요하다는 것은 눈치를 채기 시작했다. 산업혁명과 식민지개척에 따른 경제력 향상이 빈부격차를 크게 하고 하류계층의 생활수준 향상이 큰 과제로 대두하자 영국정부는 183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생존을 위한 치열한 진화를 보여준다"며 "익룡과 공룡으로 양분된 시대가 찾아오기 전에
생물
종들은 생존을 위해 각자 독특한 형태로 변화했다"고 밝혔다. 실제 라게르페티드는 작은 체구를 가진 파충류였지만 날카로운 부리와 위협적인 갈고리 모양의 발톱을 갖추면서 사냥을 할 수 있게 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닮은 전자현미경 이미지로 얼굴마담 역할을 하는 파지라면 ΦX174는 게놈이 작아 분자
생물
학 초기 역사에서 큰 역할을 했다. 영국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는 자신이 개발한 DNA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1977년 첫 게놈을 해독했는데 불과 염기 5386개로 이뤄진 ΦX174로 유전자는 11개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로 찾은 300년전 아프리카계 미국인 후손
동아사이언스
l
2023.08.06
미국으로 끌려온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에아디오인 하니 미국 하버드대 진화
생물
학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1774년~1850년 사이 미국 메릴랜드주 캐록틴 용광로에서 노예로 일하다 사망해 땅에 묻힌 아프리카계 미국인 27명의 DNA를 분석, 4만1799명에 이르는 이들의 후손을 찾고 연구결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뼈 비율로 직립보행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3
뼈들은 보행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기재했다. 미국 오스틴텍사스대(UT오스틴) 통합
생물
학과 연구팀은 뼈를 통해 직립보행의 비밀을 파헤친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사람은 현대인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직립보행할 수 있도록 골격 변화가 일어났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황폐화를 막는 것 이상의 가치가 있다. 주변 산림 등 자연생태계가 회복 안정화되면서
생물
다양성을 증진해주기 때문에 기후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국제협약 다자간·양자간 협상 등 국제협력을 통하여 황사발원지 주변과 사막화 피해지에 나무를 심어 황폐한 토지가 더 악화되지 않도록 미리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 쉽고 단순하지만 중요하고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 그 심사위원은 우리처럼 모델
생물
을 가지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항상 잊지 말아야할 교훈을 우회적으로 전달한 것 아닌가 싶다. 그 심사위원의 질문은 연구실 책임자가 되어 연구원들과 학생들을 지도하는 입장이 된 지금에도 가끔 스스로에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가능함을 보여 주었고 독일의 코흐(Robert Koch, 1843-1910)는 감염병이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물
체에 의해 발생함을 발표했다. 이후로 감염병의 병원체와 예방백신을 찾으려는 연구가 유행처럼 진행되었다. 1903년에 튀니지의 파스퇴르연구소에 책임자로 부임한 프랑스의 니콜(Charles Jules Henri Nicolle, 186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