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제
카피
사본
모사
전사
베끼기
등사
스페셜
"
복사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돌조각도 발견됐다. 대니얼 시어러스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 연구팀은 베누와 태양의
복사
열을 받게 되면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중력을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돌조각 자체는 베누의 궤적 자체에는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지만 수천만 년에 걸쳐 소행성 질량을 중앙으로 옮기는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미국 기상위성 ‘테라’의 기상센서 ‘모디스’와 미국기상위성 NOAA-20호의 적외선
복사
관측기(VIIRS)의 힘을 빌린다. 마리아 초르지유 뉴욕시립대 교수는 코로나19 대기오염이 뉴욕 근처 롱아일랜드 해변의 수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중이다. 물속에 녹은 질소량이 늘어나면 조류가 많이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비껴나, 별로 의미가 없는 유전체 영역에서 생겨난다. 교향곡 악보의 음표 하나가 잘못
복사
됐다고 전체 연주에 큰 영향이 생기지는 않는 것과 같다. 만약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의 유명한 주제부인 ‘운명이 문 두드리는 소리(빰빰빰빰~)’처럼 중요한 위치에서 음표가 바뀌어 있다면 사정이 다르다.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관련이 없다. 유성우는 한 방향으로 떨어지지만, 지구에서 보는 사람의 시야 때문에
복사
점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다만 날씨 때문에 관측가능한 지역이 많지 않을 수 있다. 기상청이 이달 5일 발표한 10일 중기예보에 따르면 12일 오후 맑을 것으로 ... ...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박차…"예방과 치료에 효과적"
연합뉴스
l
2020.08.04
항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인체에 투입했을 때 이에 대항하기 위해 생성되는 항체의
복사
본이다. 항체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서 가장 강력한 바이러스 중화 능력을 보이는 항체를 선별하고, 그 항체 유전자를 삽입한 세포를 배양해 항체를 대량생산한 것이다. 항체치료제는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67~70 사이, 곡률은 0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유럽우주국(ESA)의 우주 마이크로파배경
복사
(CMB) 측정 결과에 따른 분석값과 비슷하다. SDSS 제공 이번 연구에서는 우주가 곡률이 없이 편평하다는 사실도 다시 한번 확인됐다. 우주에 곡률이 없다는 것은 우주로 두 우주선을 평행하게 발사하면 두 우주선 ... ...
"우주 나이는 137억7천만년±4천만년"…허블상수 논쟁 해결 난망
연합뉴스
l
2020.07.17
팽창률 등을 계산해 왔다. 지난 2009~2013년에 플랑크 위성이 관측한 자료로 작성된 CMB
복사
지도는 유례없는 정밀도로 이를 담아내 CMB 우주론의 표준이 돼왔다. 연구팀은 플랑크 위성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진 ACT를 활용해 지상망원경으로는 처음으로 CMB 지도 작성에 나섰다. 결과에 따라 CMB ...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새로운 기술이다. 전사체는 세포가 단백질을 만들 때는 유전물질(DNA)에서 필요한 부분만
복사
해 만든 일종의 ‘사본’ RNA의 모음이다. 전사체를 분석하면 그 세포가 어떤 단백질을 활발히 만드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중증 및 경증 환자의 면역세포(단핵구)에서 염증성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형성하지 못하고 실패한 행성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항성의 고에너지
복사
가 대기의 기체를 이온화해 날려버리는 '광증발효과'가 대규모로 발생했을 수도 있으나 행성 대기의 가스를 모두 사라지게 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설명했다. 암스트롱 박사는 "이번 관측 결과는 핵이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내뿜는 제트가 형성된다. 제트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빠르게 분출하면서 아주 강한
복사
에너지를 내뿜는다. 연구진은 페르세우스자리 A 은하 중심에 있는 활동은하핵 ‘3C 84’에서 분출되는 제트의 크기를 계산해 광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3C 84’의 제트의 광도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