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민족"(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2020.01.18
- 중국인도 김과 해초를 잘 먹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조류를 잘 소화하는 능력은 민족에 따라 조금 다른 것으로 보인다. 서양인은 해조류를 잘 먹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의하면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 이러한 해조류 소화 능력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바닷물의 박테리아 중 일부는 해조를 ... ...
- 한국이 발견한 외계행성계 이름은 '백두''한라'동아사이언스 l2019.12.17
- 북쪽의 백두산과 남쪽의 한라산에서 착안해 이름을 지었다”며 “평화통일과 우리 민족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고 제안 의의를 설명했다. IAU는 세계 100여개 나라 1만 3500명 이상의 천문학자가 활동하는 세계 최대의 천문 단체로 천체의 명명권을 갖고 있다. 외계행성은 지금까지 4000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 최대 유전체 DB 첫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9.12.07
-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5일 전 아시아 지역에 별이 총총 박혀 있는 모습과 이 별들을 분석한 듯한 스펙트럼이 지구를 두르고 있는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 ...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때와 비교했을 때 이번 연구 성과는 아시아인 내에서도 지역별, 민족별로 서로 다른 유전체 특성을 분석했다 ... ...
- [과학게시판] 산기협,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와 기업 협력 지원 업무협약 外동아사이언스 l2019.10.31
-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11월 1일부터 7일까지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의 연례 행사인 ‘KOSEN 데이’를 개최한다. KOSEN은 전세계 한인 과학자들의 지식 커뮤니티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가 운영하는 사업이다. KOSEN 데이는 72개국 14만700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아무튼, 피그미족은 주로 아프리카나 호주, 멜라네시아, 동남아시아 등에 사는 토착 민족에 흔히 관찰된다. 왜 이들은 키가 작을까? 일부 가설에 의하면 열대 우림 지역의 낮은 자외선이 주용의자다. 비타민 D의 합성이 불량하고, 식이로 섭취하는 칼슘이 적기 때문에 골격이 충분히 발달하지 ... ...
- [주말 고고학산책] 스웨덴 황태자가 발굴한 경주 고분의 수난사2019.10.19
- 우리나라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봉분마저 잃어버린 처지가 된 겁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경주 아닐까요? 다행히 국립중앙박물관은 2016년부터 서봉총을 재발굴하여 조사하고 있습니다. 만약 경주에 방문해서 신라 고분 앞에 서게 ... ...
- "혁신적인 소재∙부품∙장비 만드는 국가가 패권 쥔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5
-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발표한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혁신 소재를 만든 민족들이 패권을 쥐는 그런 패턴들이 역사적으로 보인다”며 일본의 수출금수 조치 덕에 개발된 합성섬유 ‘폴리아마이드’의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정 교수는 “세계2차대전 즈음 일본이 철강을 대량 수입해 ...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2019.10.12
- 두 배나 알츠하이머 치매에 많이 걸리는데, 유전자 빈도는 똑같다. 앞서 말한 것처럼 민족에 따른 유전자 빈도의 차이가 크지만 치매 유병률도 따라서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미세먼지가 치매의 원인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아직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지만, 몇몇 보고에 ...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2019.10.06
- 대략 14%에 달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 다음 편 미리 보기┃치매의 민족 픽사베이 제공 한국인의 경우 APOE E4 변이형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1997년 조사에 의하면 대략 0.1 남짓이었다. 일본인도 거의 비슷하다. 아시아인은 일부 원주민을 제외하면 크게 다르지 않은 ...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2019.09.21
- 감수하고서라도 감염에 강한 혈액형이 선택된 것이다. 바스크인은 그 기원이 아리송한 민족이다. 그러나 이러한 근거로 과감하게 추정한다면, 그들의 선조가 살았던 환경은 아마 추운 고위도 지방이 아니라 감염원이 많은 저위도 지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바스크인은 Rh 음성 혈액형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