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근대"(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2019.07.04
- 바꿔 말하면, 이들은 테크 스타트업을 꿈꾸는 엔터프루너 집단이었던 셈이다. 근대과학은 유럽대륙에서 시작했지만, 18세기 중반 영국과 프랑스의 과학적 스타일은 상당히 달랐다.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영국은 과학을 진흥하면서도 그 발견과 산업에의 응용을 딱히 구분짓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2019.06.20
- 직책은 17세기의 산물이다. 가장 진보적인 지식추구활동인 과학계에서, 여전히 그런 전근대적인 제도를 신봉한다는게 아이러니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스스로 과학을 지탱하는 제도를 만들어본 적이 없다. 과학은 국가가 통제해 왔기 때문이다. 테크니션, 보이지 않는 기술자들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조 힌 치오. NIH 1956년 논문의 제1저자 치오는, 1919년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 태어났다. 근대 인도네시아의 역사는 제국의 식민지로 점철되어 있다. 현재의 인도네시아 군도는 포르투칼,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그리고 일본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다. 처음엔 대항해시대를 열던 포르투칼이 인도네시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현대사에 드리운 우리의 트라우마 중 하나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이렇다. 우리는 산업화·근대화가 늦어 일제식민지가 되었고 이후 분단과 내전을 겪은 뒤 지금 힘들게 살고 있다, 우리가 제때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산업화에 성공했더라면 지금 선진강국으로 더 잘 살고 있을 것이다. 김대중 정부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2019.05.16
- ‘과학자’들이었다. 이들이 행했던 ‘과학’은 지식창출의 가장 훌륭한 플랫폼이었다. 근대과학을 확립한 뉴턴은 미적분학이라는 ‘새로운 수학’을 만들었다. 실험하는 과학자들은 언제나 세상에 없던 물건들을 만들어낸다. 미시세계를 지배하는 양자역학은 전례 없이 완전히 새로운 논리 위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루궤이전, 니덤의 조수 혹은 스승2019.05.09
- The Sciences, 19(5), 6-10. 에서 인용 9. 니덤과 루궤이전은 그리스의 5원소설이 정량화된 근대과학의 설립에 바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처럼, 음양이론이 침술을 설명하는 양적 이론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침술은 분명한 임상적 효능이 있다. 이 패러독스는 여전히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2019.04.25
- 있지는 않았지만, 17세기 근대과학이 형성되는 유럽에서도, 이후 화학과 생물학이 근대과학의 지위를 얻게 되는 18세기와 19세기에도, 과학자들은 언제나 협업을 중시했고, 네트워크 속에서만 일했다. 17세기 로버트 보일은 '보이지 않는 대학 (Invisible College)'을 만들어 과학자들의 네트워크를 ...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2016.02.26
- 중심으로 하는 선순환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한국에서 근대적 축산을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이며 단기간에 장족의 발전을 해왔다”며 “그동안 한국이 축산분야에서 선진국의 기술지원을 통해 성장해온 것처럼 이제는 우리가 확보한 친환경 첨단 축산기술을 동남아 등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진화론을 개척한 찰스 다윈과 앨프레드 월리스가 있다. 원자론을 과학으로 부활시켜 근대화학의 기초를 쌓은 존 돌턴도 영국사람이다. 임상의학도 예외는 아니다. 이제는 보편화된 시험관아기를 처음 시도해 성공한 나라도 영국이다. 즉 동물유전학자 로버트 에드워즈와 부인학 전문의 패트릭 ... ...
- 성년식 앞둔 철도연, 한국형 철도 기술을 세계로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3
- 대표성을 보여준다. 1899년 경인선을 시작으로 역사가 시작된 우리나라 철도 산업은 한국 근대화의 성공신화를 이끈 주요 원동력이며 그 중심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연구 개발이 자리하고 있다. 광복 70주년 기념 대한민국 과학기술 70선에 선정된 KTX-산천을 비롯해 철도연의 다양한 연구 개발 ... ...
이전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