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집단면역’ 언급했다가 하루새 말바꾼 정부…해외전문가 “집단면역 불가능, 재감염 시대 준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주말인 이달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이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방역당국이 다수 국민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 ... 9와 함께 살아나가기 위해서는 공중 보건 뿐만 아니라 인간 복지 측면에서 더 넓은
그림
을 그려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과기원은 지금]세포 사이 잇는 터널링 나노관 형성과정 최초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포스텍 교수팀이 세포 폐쇄형 터널링 나노관 형성 원리(
그림
)를 최초로 규명했다. 포스텍 제공 ■이종봉 포스텍 물리학과·시스템생명공학부 교수팀이 세포 폐쇄형 터널링 나노관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최초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지난달 30일자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 ...
여름만 40년 해왕성 기온 내내 떨어지다 급상승 불가사의
연합뉴스
l
2022.04.12
많은 학자에게 흥미로운 소재라고 생각한다"면서 "모든 것이 해왕성 대기의 복잡한
그림
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향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행성과학저널'(The Planetary Science Journal)에 발표됐다. ... ...
백신 접종 뒤 오미크론 돌파감염자 '재감염' 위험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통해 이중으로 얻은 면역력이 코로나19 여러 변이에 대응하기가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림
은 항체가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모습을 그린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을 맞은 뒤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사람은 추후 새 변이에 재감염될 위험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과학계에 몰아친 '소셜미디어 토네이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3.27
해시태그(#)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5일 소셜미디어 폭풍에 휩싸인 과학을 상징하는
그림
을 표지로 실었다. 사이언스는 이날 과학계에서 소셜미디어의 명과 암에 대해서 다뤘다. 과학자들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해 본인의 연구성과를 알리거나 다른 연구자와 공유한다. 또는 대중에게 ... ...
코로나19 발발, 월요병보다 4~5배 스트레스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표시햇다.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초록색) 정도를 보인다. 아래
그림
은 부정적인 감정이 회복하는데 걸리는 기간으로 회색은 2020년 5월까지 회복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한국은 회복되지 않은 국가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네이처 인간행동 제공 부정적 감정이 가장 크게 발생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기술적으로 완성되지 않았거나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비싼 에너지는
그림
의 떡이 될 수밖에 없다. 위험하고 더러운 에너지도 함부로 포기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냉혹한 현실이라는 뜻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언제나 경제성·안전성·환경성이 검증된 에너지에만 매달려야 하는 것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2018년 애덤 클러리지 창 교수가 자신의 프리프린트를 트위터에 공개하면서 올린
그림
은, 현장의 실험과학자들이 왜 막대그래프와 P값을 피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애덤 클러리지-창 트위터 계정 캡쳐 ※참고자료 - https://towardsdatascience.com/what-can-an-octopus-tell-us-about-the-biggest-debate-in-statistica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오렉신의 각성 신호를 차단해 작용하는 약물로는 세 번째다.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그림
으로, 약물(주황색)이 후시냅스 말단 표면의 오렉신 수용체에 먼저 결합해 Hcrt뉴런의 전시냅스 말단에서 방출되는 오렉신이 붙을 자리가 없다. 에자이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디지털과 결합한 고생물학…사라진 멸종동물이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미국 필드 자연사박물관은 중생대 초기 번성했던 플루로마이아를 비롯한 식물을
그림
으로 만들어 공룡들이 먹는 장면을 배치하는 전시를 온라인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마를렌 도넬리 미국 시카고 필즈박물관 과학 일러스트레이터는 “고대 생물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식물을 제외하는 일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