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티셔츠
T-shirt
티
T-셔츠
티샤쓰
티셔쯔
T셔츠
뉴스
"
T
"(으)로 총 2,52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선정 2024년 과학계를 빛낸 10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1
교수. 네이처 제공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지난 4월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
T
) 관측 데이터로 새로운 '허블 상수'를 계산해 올해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를 뜻하는 허블상수는 우주 나이와 반비례한다. 허블상수가 커지면 상대적으로 우주의 나이는 적어진다. ... ...
日 첫 민간기업 '위성 탑재 로켓' 발사 또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판단해 비행 중단 조처를 했다. 발사에 실패한 것이다. 로켓에는 대만 국가우주센터(
T
ASA), 일본 기업의 위성 5기가 탑재됐다. 그중 위성 1기에는 교토 사찰 의뢰로 평화를 기원하는 작은 불상이 부착됐다. 스페이스원은 지난 14일과 15일 카이로스 2호기를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이틀 모두 발사장 ... ...
면역세포 공격 피하게 돕는 '암세포 조력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맞춤형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혈액암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T
세포 기반 면역요법에 초기에는 반응했으나 이후 재발한 환자에게서 맞춤형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16/j.cell.2024.11.00 ... ...
모더나 RSV 백신 '안전 적신호'로 임상 중단…"백신 회의론 거세질까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이 중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백신 접종 후 감염 보호에 도움이 되는
T
세포 반응은 약화되고 도움이 되지 않은 항체만 높은 수준으로 생성되면서 위험한 기도 막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은 아동의 건강과 전반적인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 반드시 ... ...
기후위기로 북극에 오징어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14
1979년(왼쪽)과 2022년(오른쪽) 북극 여름철의 해빙 면적 차이. NASA’s Scien
t
ific Visualiza
t
ion S
t
udio, NASA 제공 이러한 이유로 지난 70년 동안 북극의 평균 기온 상승률은 지구의 평균보다 4배나 더 높았고 수온도 1900년도 이후 2°C 이상 올랐습니다. 양은진 박사는 "북극의 온난화 현상을 해결하지 ... ...
올해 최고의 과학 성과는 '에이즈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개발한 에케하르트 파이크 독일 국립 측정표준연구소 연구원,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
T
) 관측 데이터로 허블 상수를 계산한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 엠폭스(MPOX) 확산을 예측한 플라시데 음발라 콩고공화국 국립 생의학연구소 연구원 등의 과학자를 선정했다. 기상 예보에 인공지능(AI) ... ...
항암 면역세포, 체내에서 직접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암세포의 세포막에 발현된 항 CD3 항체는 현재 항암 치료제로 사용돼 종양 침윤
T
세포의 암세포 상호작용 및 암세포 사멸 능력을 증진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항암 치료를 유도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mRNA 치료제를 다양한 고형암 동물 모델에 종양 내 투여한 결과 부작용 없이 암세포가 직접 ... ...
천문학자부터 변호사까지…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계 빛낸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상대적으로 우주의 나이는 적어진다. 프리드먼 교수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
T
) 관측으로 측정한 허블상수가 메가파섹(Mpc·1pc은 약 3.26광년)당 69.1km/s"라고 발표했다. 이는 1메가파섹(약 3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들이 69.1km/s의 속도로 서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유럽우주국(ESA)의 플랑크 ... ...
[표지로 읽는 과학] 'BBB' 뚫고 뇌에 치료제 전달하는
T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Barrier, BBB)'때문에 뇌에 침투하기 어렵다"면서 "연구팀이 설계한
T
세포는 BBB를 통과해 CAR-
T
세포처럼 작동하는 치료제"라고 설명했다. BBB는 혈액 속 물질 중에 선택된 일부 물질만 뇌 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신경계통 미세혈관의 구조 특성이다. 혈관과 조직이 매우 촘촘하게 그물을 ... ...
3.5mm 초소형 코일로 뇌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사용해 국소 부위에만 뇌 조직 손상 없이 정밀 뇌 자극이 가능함을 제시한 결과”라며 “
T
MS 치료 시 병원을 주기적으로 방문하고 매번 코일과 자극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보정 작업이 필요했던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뇌 자극’에 지난달 13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