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화
어원
파출
분기
뉴스
"
파생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수학은 24명의 '스승'에게서 나왔다
수학동아
l
2019.05.15
MGP)'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기사가 실렸다. 현대 수학자의 65% 이상이 24명의 학자에게서
파생
됐다는 내용이었다. 스승-제자 사이를 부모-자식 관계라고 치면 수학자 세계는 24개 가문으로 이뤄졌다는 뜻이다. 전세계 수학자 조상 찾기 프로젝트를 시작한 주인공은 해리 쿤스 미국 미네소타주립대 ... ...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비교적 단순하고 크기가 작은 것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의 특성과 좀더 닮았다(
파생
적 특성). 그러니까 하나의 종 안에 약 200만~300만 년의 차이가 나는 인류의 특성이 모두 담겨 있는 것이다(모자이크 특성). 이런 모자이크 특성의 발견으로 인류 진화사의 ‘정설’이 위협 받을 가능성도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최현용 교수 “기술 발전은 과학적 이해가 선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싶다”며 “모든 과학자가 꿈꾸는 이상적인 목표지만, 달성되지 못해도 연구 중에
파생
돼 나오거나 필요한 기술 개발이 이뤄질 수도 있다. 목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과정이 더 의미가 있을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지질학적 시간이 흐르면서 종이 분화해서(speciation) 하나의 종에서 여러 개의 종으로
파생
되어 나갔지만 기능적으로 진화했을 뿐. 날개의 변화는 없었다. 단지 날개의 구조와 공통적 형질을 묶어 하나의 목(Order. 目)으로 간결하게 분류할 수 있다.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시맥, 시맥외부(오른쪽 위 ... ...
안전, 해체 등 원자력기술 신규R&D에 127억...원자로는 포함 안 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걸쳐 총 416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며, 올해는 26억 원이 지원된다. 원자력 분야에서
파생
된 기술을 해양 탐사선이나 우주 환경에서 활용하는 등 발전 이외의 분야로 확산시키는 융복합 기술 개발에 27억 6000만 원이 투입된다. 이 분야는 특히 우주나 해저 등 극한 한경에서 작동하는 초소형 기기를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ibogamin)-19-ol’를 새롭게 합성했다. 연구팀은 이보가 알칼로이드에서 자연적으로
파생
되면서 분자적 재배열을 이룬 천연물군을 ‘포스트이보가’라고 규정하고, 그 계열의 물질 역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다양한 효소의 작용을 통해 식물 내에서 이뤄지는 이보가 골격의 분자적 재배열을 ... ...
삼성바이오로직스·바이오젠, '콜옵션' 자산양수도 종결
연합뉴스
l
2018.11.06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현재 재무제표상에 반영된 매각예정자산(약 2조2천478억원)과
파생
상품부채(약 1조9천336억원)는 삭제된다. 올해 4분기에는 관계기업처분이익 약 4천413억원이 영업외이익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바이오젠의 콜옵션 비용 지급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지난 6월 말 기준 약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신경세포는 머리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체와 한쪽으로 뻗어 나온 굵은 축삭돌기, 거기서
파생
돼 나뭇가지처럼 돋아난 수많은 수상돌기로 구성된다. 축삭돌기는 굵은 수상돌기이며, 신호전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신경수초막이 점점이 박혀 있다. 신경세포는 축삭돌기와 수상돌기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빔의 중심으로 움직인다. 이른바 광학 집게로 불리는 이 기술은 오늘날 여러 분야로
파생
됐다. 살아있는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관찰하거나 소용돌이와 같은 형태의 레이저 빛을 쪼여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다양한 학술적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원자를 포획해 극저온으로 온도를 ... ...
뇌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크게 머리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체와 한쪽 방향으로 뻗어나온 굵은 축삭돌기, 거기서
파생
돼 나뭇가지처럼 돋아난 수많은 수상돌기로 구성된다. 축삭돌기는 굵은 수상돌기이며 신호전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신경수초막이 점점이 박혀 있다. 신경세포는 축삭돌기과 수상돌기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