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식
침범
침략
삭마
마모
소모
erosion
뉴스
"
침식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궤도 조정 노력에도 뉴욕 한복판에 떨어진 소행성
연합뉴스
l
2019.05.08
약 2억1천400만년 전에 형성된 운석 충돌구로 애초 직경이 100㎞에 달했으나 현재는
침식
, 퇴적 작용으로 약 72㎞ 줄었다. 지구에 있는 충돌구 중 다섯 번째로 크다. [ISS 제공] ... ...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대해 몇 가지 가설을 갖고 있었다. 하나는 거대한 퇴적암으로 이뤄졌던 게일 분화구가
침식
되며 남은 흔적이라는 가설이다. 다른 하나는 샤프산은 주변에서 날아온 입자가 퇴적돼 형성됐다는 가설이다. 샤프산의 땅이 단단하게 압축돼 있지 않다면 분화구가 형성된 이후 샤프산이 생겨났다는 가설이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화산 지형을 담았다. 화산 분출(불)로 생겨난 지형은 화산재(땅)로 덮였고 바람과 물의
침식
작용으로 깎여 나갔다. 관광객들은 열기구를 타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한다. 이 사진도 열기구 위에서 스마트폰으로 찍었다. 캐서린 캐시맨/영국왕립학회 제공 생태학 및 환경과학 부문 준우승작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시간이 지나면 주변 지형에 맞춰 평탄해지는
침식
과정을 겪는다. 커트 교수는 “
침식
은 빙하에서 더 빠르게 진행된다”며 “빙하에 남은 운석의 충돌 흔적이 아직 선명하게 남은 걸 볼 때 비교적 최근에 벌어진 사건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시기를 보다 명확히 알려면 내부 빙하 층에서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새 크기의 소형 공룡은 종류가 적기도 했고, 발자국이 호숫가 등에 남아도 쉽게
침식
돼 화석이 되기 힘들다. 이 발자국 주인이 새끼 공룡이라 하더라도, 새끼 공룡은 성장 속도가 빨라 발자국이 드물다. 연구팀은 이 공룡에 ‘드로마에오사우리포미페스 라루스(Dromaeosauriformipes rarus)’라는 이름을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지나면 주변 지형에 맞춰 평탄해지는
침식
과정을 겪는다. 커트 교수는 “
침식
은 빙하에서 더 빠르게 진행된다”며 “빙하에 남은 운석의 충돌 흔적이 아직 선명하게 남은 걸 볼 때 비교적 최근에 벌어진 사건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최대 300만 년 전부터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는 ... ...
2020년 화성 가는 탐사로봇 최종 종착지는 '옥시아 플라눔'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전 과거 화성에서 고원 내 분화구형 지형이던 곳이다. 점차 분화구의 경계가 물에 의해
침식
되면서 확장됐고, 현재는 저지대 평원으로 자리하고 있다. 반면 마우스 발라스는 옥시아 플로눔 북동쪽으로 수백㎞ 떨어져 있는 지역으로, 산악지대와 저지대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다. 과거 화성 북쪽에 ... ...
"어디라야 안전할까" 美-EU 화성 탐사 로버 착륙지 놓고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약 39억 년 전 과거 화성에서 고원 내 분화구형 지형이던 곳이다. 점차 분화구의 경계가
침식
되면서 확장됐고, 현재는 저지대 평원으로 자리하고 있다. 외부 충돌 흔적으로 생기는 거대한 크레이터는 거의 없다. 과거 이 곳을 흘렀던 강의 끝자락에 생기는 퇴적층인 삼각주 지형들은 최대 100㎞ ... ...
“21세기말엔 베네치아 97%가 물에 잠길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찾아와 육상 면적의 97%가 최대 2.5m까지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 해안선
침식
에 의한 피해도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탈리아 북부의 고대 도시 아퀼레이아와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등도 큰 홍수로 인해 잠길 세계문화유산으로 꼽혔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이탈리아반도와 발칸반도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서부 지역은 인류가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며 "하지만 나중에 빠른 속도로 일어난 퇴적과
침식
으로 흔적이 남기 힘든 지형"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시 서해가 일종의 호수였기 때문에, 호수의 저지대 퇴적층에 일부 남아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다양한 석기와 부근의 동물 뼈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