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늘땅
세상
건곤
우주
하늘
천하
온세상
뉴스
"
천지
"(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지질구조와 백두산 재해 대응 공동연구 등이 논의된다. 한중공동연구진은 백두산
천지
및 지하 10km 인근에 마그마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시추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등 공동 연구를 성사시키기 위해 차근차근 절차를 밟아 왔다. 양측은 올해 7월 백두산
천지
에서 만나 시추 지점을 결정하는 등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해 2017년까지 기초 탐사에 들어간다. 이윤수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지하 7km 깊이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하를 면밀히 조사할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구할 수 있다. 문득 ‘지구의 물이 외부에서 온 건가?’하는 의문이 들었다. 백두산
천지
정도의 양도 아니고 바닷물 전체가 혜성 같은 외부 천체에서 왔다는 게 언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때 만들어진 초기 지구는 온도가 뜨거웠을 테니 수증기의 형태로 대기중에 ... ...
겨울 설국(雪國) 여행이 주는 환희
2014.12.21
도시는 따뜻한 겨울정취와는 거리가 있었다. 그 이듬해부터 찾아간 동북부 일대는 별
천지
였다. 그 중에서도 지난해 발길을 내딛은 아오모리 현이 주는 정취는 색다른 감이 있었다. 오죽하면 현지사람들은 이 지역을 여행한다는 말을 ‘북채기행(北彩紀行)’이라고 불렀다. 흰색 말고 무슨 색이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유명한 ‘호킹 복사 이론’을 완성하는 과정이 나온다. 와일드가 특이점 이론을 신의
천지
창조 근거로 해석하자 호킹 박사가 그에 반대되는 상황을 밝히겠다고 말하고 그 결과로 호킹 복사를 내놓는다. 호킹 복사는 모든 것을 빨아들이기만 하는 블랙홀이 입자를 방출할 수 있다는 이론으로 ... ...
[채널A] 우리 위성, 평양 시내 차량 대수까지 식별
채널A
l
2014.11.19
활동 중인 우리나라 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입니다. 북쪽으로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
천지
의 눈쌓인 모습이 동쪽으로는 늠름하게 서 있는 독도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번엔 평양. 능라도경기장에 주차된 차량 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생생합니다. 지상을 가로 세로 각 70cm 단위로 촬영할 수 있는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거슬러 태초의 인간인 ‘루시’를 만나는 장면이다. 감독은 이 장면을 미켈란젤로의 ‘
천지
창조’에 빗댈 만큼 큰 무게를 실었다. 그리고 나서 루시는 모든 것을 깨달았다는 듯 슈퍼컴퓨터로 모습을 바꾼 뒤 손가락만한 USB 저장장치로 최종진화를 마친다. ‘뇌를 100% 사용하게 된 인간의 최후의 ... ...
이유식 한 그릇에 담긴 육아의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6
온통 이유식이 묻었다. 게다가 아이가 이유식 그릇을 엎는 바람에 상과 바닥이 이유식
천지
가 됐다. 이 장면을 보며 빙그레 미소지을 수밖에 없었다.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다. 아이에게 수저로 이유식을 떠먹였다. 물론 반은 입에 들어가고 반은 입 주위 얼굴이 차지했다. 그래서 컵에 넣어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저 녀석들이 둥지를 떠날 때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지 걱정이다. 산에는 온갖 새들
천지
지만 이렇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새집을 발견한 건 처음이다. 물론 까치집이야 눈에 잘 띄지만 10m도 넘는 높은 나무 위에 지으니 맨 정신에 올라갈 일은 없다. 필자는 등산로 부근 나무의 사람 키 높이 ... ...
울릉도, 살아 있네 살아 있어~
과학동아
l
2014.04.25
화산섬이었다. 나리분지의 원형이 되는 분화구(칼데라)가 있었고, 지금의 백두산
천지
처럼 물이 고여 있었다. 하지만 1만9000년 전 지하에서 끈적끈적한 마그마가 천천히 뚫고 올라오기 시작했고, 마그마는 마치 방에 갇힌 것처럼 지하에 잔뜩 모여 있다가 호수와 만나 엄청난 양의 수증기를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