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스텍, 저온 공정으로 수소 생산 효율 6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수소를 나타내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800℃ 고온의 공정 환경 대신 300℃만으로도 수소 생산 효율을 6배 높인 혁신 기술을 개발했다. ... 구조 제어 기술이 수전해 시스템 효율 향상의 핵심 열쇠가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https://doi.org/10.1002/adfm.20250622 ... ...
인간 면역체계, VR속 감염 위협만으로 경계 상태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가상세계에서 가해지는 감염 위협만으로도 몸의 면역체계가 반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Lombardini22 Neuroscience Lab 제공 가상현실(VR) 속에서 기침·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며 감염 위협을 유발하는 3차원(3D) 아바타가 가까이 있으면 실제 상황이 아닌데도 몸의 면역체계가 반응해 '경계 상태'에 돌입한 ... ...
폭염 속 에어컨 바람과 겨울 추위 다르게 느끼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폭염에 에어컨이 켜진 쾌적한 실내로 들어서며 느끼는 시원함은 같은 저온 자극인 겨울 추위와는 다르게 느껴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폭염에 에어컨이 켜진 쾌적한 실내로 들어서며 느끼는 시원함은 같은 저온 자극인 겨울 추위와는 다르게 느껴진다. 미국 연구팀이 쥐 연구를 통해 '시원함'을 ... ...
"말 더듬는 사람들, 심리적 원인 때문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아이가 언어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말더듬증(stuttering)'이 단순한 말습관이나 심리적 원인 때문이 아니라 유전적 특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대규모 연구결과가 나왔다. 말더듬증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조기 진단이나 치료법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 ... ...
인체 삽입 의료기기 무선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장진호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초음파 기반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 ... (왼쪽부터) 장진호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와 강성우 DGIST 박사과정생. DGIST 제공 -https://doi.org/10.1016/j.bios.2025.11778 ... ...
치매 증상 발생 후 진단까지 3.5년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치매 증상이 발생한 뒤 진단을 받기까지 3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치매 환자는 증상이 발생한 시점 적시에 진단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이 발생한 뒤 3.5년이 지난 뒤에야 진단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실리키 오르게타 영국 유니버시티 ... ...
걸을 때 생기는 정전기로 신경치료…배터리 없는 '간편 전자약'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체내 전류 이동 경로 제어를 통한 신경치료 기술 개요. (A) 외부에서 인가된 저주파 전류가 인체 내 저항 차이를 기반으로 특정 위치로 유도되는 메커니즘. 전류가 삽입된 금속 전극을 중심으로 집중되도록 설계됐다. (B) 주파수에 따른 인체 내 전류 흐름 특성을 나타낸 회로도. (C) 대동물인 돼지 모 ... ...
길어야 15살까지 사는 조로증, 정교한 유전자가위로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김선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래형동물자원센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조로증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RNA)만 정확하게 잘라내고 정상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했다. 단순 질병 치료기술을 넘어 노화의 근본 원인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전복 껍데기는 서로 다른 성질인 유기층과 무기층이 차곡차곡 수천겹 쌓인 '초격자(superlattice)' 구조를 이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복 껍데기 구조를 모사해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소재를 개발했다. 일반 절연체보다 전기 저장효율이 높아 웨어러블 장치나 반도체 소자 등 차세대 ... ...
네안데르탈인, 구더기가 주요 식단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7
네안데르탈인 모습을 복원한 모습. 네안데르탈인 박물관 제공 네안데르탈인이 고기와 함께 구더기를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 연구팀도 이번 결론은 잠정적인 것이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논문에 명시했다. -https://doi.org/10.1038/d41586-025-02104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