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뉴스
"
지표
"(으)로 총 1,918건 검색되었습니다.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 피부 감각 재현…신개념 열전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열전 소자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
다. 연구팀은 섬유형 열전 소자를 웨어러블 스마트 장갑에 통합해 다양한 자극을 감지하는 인간의 피부 감각을 모사한 센서 시스템을 구현했다. 스마트 장갑은 출력 전압, 전기 저항, 정전 용량과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부작용까지 낳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을 정도이지만(에어로졸 배출이 크게 줄며
지표
에 도달하는 햇빛이 늘어서) 코로나19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언제든지 비상식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안타깝게도 이제 미국은 에너지, 환경, 보건 등 많은 분야에서 지구촌의 문제를 외면하고 ... ...
"오메가3 지방산 섭취, 노화 늦춰"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3년간 오메가3 지방산을 매일 복용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3개월 덜 늙는다는
지표
를 보였다. 비타민D를 추가 복용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했을 땐 4개월로 효과가 늘어났다. 연구팀은 "오메가3 지방산을 통한 수명 연장 효과는 개인 수준에서는 미미할 수 있다"며 "하지만 대규모 인구 ... ...
우주선 엔진 '홀추력기' AI로 성능 예측…11월 누리호에 실려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어려웠던 연료 유량이나 자기장과 같은 설계 변수에 따른 추력과 방전전류와 같은 성능
지표
변화를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 스케일링의 법칙은 더 많은 매개 변수나 데이터를 사용하면 고품질의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법칙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델이 자체 개발한 70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④ 게임도 '치료제'…놀이하며 ADHD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설계됐다. 또 이모티브는 아이들이 게임을 수행한 뒤 도출된 행동 데이터들을
지표
화해 머신러닝 기반으로 ADHD를 선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현재 서울대병원과 한양대병원에서 임상시험이 약 90% 진행됐다. 2월 중순이면 임상이 완료되고 올해 상반기 중 ADHD를 적응증으로 하는 디지털 ... ...
"뇌질환 신약 같이 개발하자"…러브콜 쇄도 출연연 창업기업 '큐어버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해 질병 진행을 추적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
다. 매우 불안정한 분자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지씨씨엘은 CV-01 임상 시험 분석을 위해 mRNA 4종 분석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창업기업인 ... ...
242만년 동안 쓸 수 있는 '암모니아' 생산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지표
면 아래 물과 암석이 어떠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지 추적했다. 연구팀은
지표
면 아래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을 이용해 화학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기존 방식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공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아이디어를 얻었다. 암모니아는 ... ...
이산화탄소로 기저귀 원료 만드는 친환경 촉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추출 공정으로 아크릴산나트륨의 수율을 높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촉매 효율
지표
인 전환수(TON) 570에서 수율 82%, 전환수 312에서 수율 99%를 달성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종전 최고 기록은 전환수 514에 수율 21%다. 전환수는 촉매 하나가 변환하는 생성물 수로 보통 전환수가 높아지면 ... ...
근육에 지방 많으면 말라도 심장병 위험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손상을 입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질량지수가 비만을 평가하는 적절한
지표
인지 논란이 있다”며 “이번 연구는 체질량지수나 허리둘레 같은 측정법이 심장병 위험을 예측하는 기준이 되기엔 부족하다는 하나의 증거”라고 덧붙였다. doi.org/10.1093/eurheartj/ehae82 ... ...
스트레스로 생긴 혈관 내 세포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가변 렌즈를 사용하면 동맥의 움직임으로 인한 이미지들 간 유사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지표
를 4배 높일 수 있었다. 단위 시간당 촬영 가능한 이미지 수인 시간해상도를 57% 향상해 혈관 내 면역세포의 빠른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초점 가변 렌즈를 현미경의 초점 평면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