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56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인공위성 지구관측 데이터로 지하수 유출 지역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3m씩 가라앉고 있었다. 하지만 지면의 변화는 일정하지 않았다. 가령 폭우가 내린 뒤에는
지층
중 지하수를 함유하는 대수층에 물이 유입되면 지면이 상승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폭우 뒤에 오히려 지면이 가라앉는 때도 있었다. 연구팀은 지면의 침강과 상승에는 토양의 구성 성분이 중요할 ... ...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 기술 전문가 이창수 원자력연 선임연구원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생성물의 처분방법은 격리시키는 장소에 나눌 수 있다. 해양에 투기하는 방법, 해저
지층
에 묻는 방법, 빙하에 묻는 방법 등이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은 육지처분이다. 육지처분도 깊이에 따라 천층처분과 심층처분으로 나뉜다. 심층처분은 사용후핵연료 등 고준위폐기물을 지하 300~1000m ... ...
'낮에 나온' 600만년 전 고대 올빼미…밤 생활 거부
연합뉴스
l
2022.03.29
티베트고원 끝에 있는 간쑤((甘肅)성 린샤(臨夏) 분지의 신생대 제3기 초 마이오세
지층
에서 발굴한 조류 화석을 분석해 얻은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 호에 발표했다. 이 화석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대부분의 뼈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은 물론 설골(舌骨)로 불리는 혀 구조와 폐로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5.2 ℃ 내림 │공룡이 잠들다 1980년대 팔레오기(6600만 년 전~2300만 년 전)에 생성된
지층
(K-P 경계층)에서 이리듐이 발견됐다. 이리듐은 소행성으로부터 온 것이다. 하지만 이때만해도 소행성으로 인한 멸종설은 큰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러다 1990년대 멕시코 유카탄반도에서 직경 약 200km의 ... ...
새만의 독특한 알 속 웅크린 자세 원조는 수각류 공룡
연합뉴스
l
2021.12.23
Press)에 따르면 이 화석은 지난 2000년 중국 장시성 간저우(州)의 약 7천200만∼6천600만년 전
지층
에서 잉량그룹 회사 관계자가 처음 발굴했다. 당시에는 공룡알 화석일 수 있다는 정도로만 알고 창고에 넣어뒀다가, 10여년 뒤 '잉량석재자연사박물관' 건축 기간에 박물관 직원이 창고 물품을 정리하는 ... ...
"공룡들의 마지막 봄"…공룡대멸종 칙술루브 소행성 봄에 충돌
연합뉴스
l
2021.12.13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소행성 충돌 직후인 백악기 말기와 고(古)제3기(K-Pg) 사이
지층
이 가장 자세하게 드러난 노스다코타주 남서부 타니스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타니스 지역은 드팔머 교수가 지난 2019년에 발표한 연구를 통해 소행성 충돌로 인한 대규모 쓰나미로 물이 ... ...
화성 '지질학자' 인사이트 지진계로 드러난 붉은행성 '속살'
연합뉴스
l
2021.11.26
착륙해 지진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화성 궤도선이 공중에서 촬영한 지형 자료를 토대로
지층
구조를 예측했는데, 화산활동에 따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은 예상과 일치했으나 현무암층 사이에 퇴적암층이 존재하고 암석들이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은 새롭게 확인했다. ... ...
"물 주입시 규모 5.5 지진 확률 17%" 포항지진, 예측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했다.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실증연구를 위해
지층
에 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생긴 작은 유발지진의 힘이 누적돼 단층에 영향을 줘 일어난 촉발지진으로 추정된다. 대한지질학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1년간 연구를 수행해 2019년 3월 ... ...
중국 신장위구르 분지서 발견된 4000년된 서양인 외모 미라, 알고보니 토착민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연구팀은 이들의 정확한 기원을 밝히기 위해 기원전 2100~1700년 전 타림 분지 공동묘지
지층
에서 발견된 미라 13구의 게놈과 여기서 북쪽으로 수백 km 떨어진 신장 북부 준가르 분지에서 발견된 기원전 3000~2800년 전 미라 5구의 게놈을 분석했다. 그뒤 이들의 게놈을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고대인 ... ...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10.13
생겨났다가 다시 퇴적되길 반복했고, 그 결과 케이크 시트처럼 여러 겹 쌓인 모습으로
지층
에 남았다는 사실도 밝혔다. 켈리 호건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연구원은 “기후가 따뜻해질 때 빙하 아래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