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기줄"(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슴 두근거린다는 아이, 소아부정맥 가능성 확인해야동아사이언스 l2024.06.24
- 이주성 고려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심장이 갑자기 빠르거나 느리게 뛰는 등 맥박이 불규칙한 증상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특히 영유아나 소아청소년에게 발병하는 소아부정맥은 방치할 경우 심장 기능이 악화하거나 종류에 따라 ...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4.05.25
- 과학동아 제공 과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개는 '파블로프의 개'일 것이다. 1849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실험 신경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는 개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통해 '조건반사'로 알려진 고전적 조건형성을 발견했다. 파블로프의 개로 대표되는 그의 연구와 삶을 우리는 얼 ... ...
- 값싼 신약·색감 바꾸는 OLED, 계산화학으로 가능해진다2024.05.24
- 발표 중인 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백무현 부연구단장. IBS 제공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계산화학'을 적용하면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해 약값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색감과 디자인이 혁신적으로 바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전자기기 모습 자체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 ...
- 짠맛 증폭시키는 숟가락 등장…저염 식습관에 도움동아사이언스 l2024.05.21
- 기린홀딩스의 '전기 소금 숟가락'. 기린홀딩스 제공 일본에서 전류를 이용해 짠맛을 실제보다 강하게 느끼게 하는 숟가락이 나왔다. 저염식 식습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주류 및 제약 기업인 기린홀딩스는 미야시타 호메이 일본 메이지대 프론티어 미디어과학 ... ...
- 내시경 개발 '메디인테크', 20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동아사이언스 l2024.05.13
- 메디인테크 제공. 정부출연연구기관 출신 연구자들이 설립한 의료용 스마트 내시경 스타트업 ‘메디인테크’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투자자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넥스트랜스가 후속 투자했고 IBK ... ...
- 배터리·센서 결합 '스마트 섬유', 금속·세라믹으로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4.05.08
- 금속과 세라믹 재료로 나노리본 섬유 가닥을 만드는 과정. KAIST 제공 발광 소자, 배터리, 센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섬유는 섬유에 디지털 정보 기술이 결합한 미래형 섬유다. 국내 연구팀이 소재 자체의 한계가 있었던 기존 섬유 대신 금속과 세라믹 소재로 나노섬유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2024.04.28
- 중국에서 기원전 1600년 전부터 두개골 절제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John W. Verano 제공 ● 통증을 줄이기 위한 오랜 방법 수술은 신석기 시대 때부터 행해졌다. 유대인들은 오래 전부터 할례를 시도했고 인도에서는 기원전에 이미 코 재건을 위한 성형술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상 ... ...
- 초음파로 몸속 배터리 무선 고속 충전…인체 삽입 의료기기에 도움동아사이언스 l2024.04.25
- 장진호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고성능 초음파 무선 충전기를 확인하고 있다.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초음파로 몸속에 삽입된 의료기기를 무선으로 고속 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체 삽입형 의료용 전자기기 상용화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장진호 전 ... ...
- [과기원NOW] DGIST, 실명 환자 시력 회복 돕는 점자 형태 망막 전극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23
- 실명 환자의 시력 회복을 도울 수 있는 3차원 점자 형태의 망막 전극.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소희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볼록볼록한 점자 형태의 3차원 망막 전극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4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 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고 23일 ...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04.20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누구나 뼈와 근육이 급격히 발달하는 청소년기에 키가 쑥 큰 경험이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같은 시기 뇌 역시 급격한 발달을 겪는다. 한창 변화하는 청소년의 뇌는 성인의 뇌보다 중독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특징을 보인다. 만약 청소년인 당신이 소셜 미디어 삼매경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