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진"(으)로 총 7,6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5
- 굴착을 7월 31일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한국 과학자들을 포함한 22개국 630여 명의 연구진이 참여하는 하이퍼카미오칸데 프로젝트는 2027년 말 검출기 완공, 2028년 초 운영 시작이 목표다. 중성미자는 '유령 입자'라고도 불리는 우주의 기본 입자로 다른 물질과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다. 지금도 빛에 ... ...
- 1300℃ 화염에 노출돼도 쉽게 꺼지는 플라스틱 소재동아사이언스 l2025.08.05
- 아라미드 나노섬유(ANF)를 결합해 만든 복합소재를 나타낸 그림.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자기기, 소방장비, 항공우주 부품, 의료용 투명 소재 등 고안전성과 경량화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친환경 난연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제영 ... ...
- 적 몰래 침투하는 스텔스 무기 심장부, 국내 기술로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5.08.05
- 핵심 설계 및 평가 기술 국산화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레이더 스텔스(Radar Stealth) 무기체계의 핵심 기술을 외산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해외 도입이 어려운 국가 전략 물자의 기술 자립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 ...
- 우주로 날아간 대장균, 어떻게 성장하고 번식할까동아사이언스 l2025.08.04
- 상태에서 박테리아의 행동을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 2017년 미국 휴스턴대 연구진이 모의 우주 환경에서 대장균의 증식 방식을 실험했다. 최근에는 NASA가 우주비행사들에게 ISS 내부에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밖에 ISS에서 우주인들은 ... ...
- 소아 천식 등 알레르기 원인 찾았다…"임신부 태반 염증이 아이 면역체계 바꿔"동아사이언스 l2025.08.04
- 태아 면역 체계에 변화를 일으켜 T세포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고 기억 능력을 강화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변화된 기억 T세포가 출생 후 항원에 반복 노출될 때 알레르기 반응을 과도하게 일으킨다는 점을 확인했다. 모체 염증 반응이 소아의 알레르기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기전 모식도. KAIST ... ...
- 체외서 나노로봇 조종해 체내 암세포만 제거…노벨상 산실 獨-英 연구기관과 협력동아사이언스 l2025.08.01
- 시간)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케임브리지대 그래핀센터에서 IBS 글로벌 파트너랩의 주요 연구진이 공동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IBS 제공 IBS 이차원양자헤테로구조체 연구단은 양자 소재에, 케임브리지대는 양자 상태를 만들어내는 '양자 광원'과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큐비트'의 ... ...
- 에너지연, 풍력발전 국제공인시험기관 됐다…수출경쟁력 확보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풍력발전시스템 외부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연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이 풍력 분야 국제공인 재생에너지 시험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해외에 의존하던 국산 풍력발전시스템 인증을 국내에서 해결해 국내 풍력산업 수출 경쟁력을 확보한 ... ...
- 초기 우주의 빨간 점,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블랙홀별'일까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관측을 통해 수집된 '작은 빨간 점(little red dots)' 샘플들. 이 천체들은 빅뱅 이후 약 6억년 뒤에 대량 출현해 약 15억년 뒤에 급감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NASA, ESA, CSA, STScI, Dale Kocevski/Colby College 제공 과학자들이 약 137억년전 우주가 탄생한 후 10억년 ... ...
- ETRI-KAIST, 잡음 보정 없는 양자암호통신 검증…위성·드론·선박 적용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양자상태 전송과 측정이 원활하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ETRI 제공 측정 보호 기반 QKD 시스템은 전송된 양자 정보 중 오류가 발생한 비율인 '양자 비트 오류율(QBER)'의 시스템 최대 허용치가 기존 대비 20.7%까지 증가했다. ... ...
- 보이지 않던 면역의 연결고리, 미세융모에서 찾아동아사이언스 l2025.07.29
- 29일 밝혔다. (왼쪽부터) 전 교수와 서원창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T세포 면역 조절 핵심 단백질인 ‘Cdc42’의 역할을 규명했다. T세포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외부 병원체(항원)를 인식해 방어하는 면역계의 핵심 세포다. 새로운 면역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