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확신
소신
의견
견해
고집
의지
신뢰
뉴스
"
신념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중과 호흡하는 과학강연 '카오스강연'도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3.02
분들과 나누며 힘든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과학적 사고와 지식 활동은 계속돼야 한다는
신념
으로 강연 중단 없이 온라인 생중계로만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강연을 온라인 생중계로 하는 대신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도록 채널을 추가한다. 카오스재단은 기존 네이버TV ‘카오스재단’ ... ...
[과학촌평] 과학자와 사회의 소통은 ‘적극성’에서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중요성을 강조하는 발언이 무색할 정도다. 예민하고 민감한 이슈에 대해 과학적
신념
을 갖고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과학자들도 국내에서는 많지 않다. 어렵게 수소문한 전문가에게 연락해 의견을 구하려고 하면 답하기 곤란하다거나 비보도를 전제로 이야기해주는 과학자들이 그렇지 않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를 피하는 법
2020.02.22
장치를 두는 것도 가짜 뉴스 확산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일례로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
과 일치하거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정보는 거의 자동적으로 공유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공유하기 전에 해당 뉴스가 가짜일지 생각해보라고 하면 이것 만으로도 가짜 뉴스를 공유하는 횟수가 크게 줄었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급진적 변화를 위해
2020.02.13
의 등장이다. 오픈액세스는 분명 과학지식은 인류의 공공재이며 공유되어야 한다는
신념
으로 확산된 운동이었지만, 오픈액세스가 확산되고 거대독점학술지가 이를 주요 수익원으로 삼으면서, 왜곡된 학술시장의 틈을 타고 약탈적 학술지 시장이 자라나기 시작했다. 약탈적 학술지란, 최근 ... ...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소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개인의 기호와 취향뿐만 아니라 가치와
신념
이 반영된 인공 고기가 더 다양하게 개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020년 1월호,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어겼느냐 하는 여부였다. 기록에 남아 있는 심문과정을 보면 갈릴레이가 과학자로서의
신념
을 지키기 위해 종교에 맞섰다는 식의 분위기는 전혀 아니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Eppur si muove).”는 말을 남겼다는 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갈릴레이는 잘나 보이려는 지적 허영심 때문에 ... ...
"청중을 모르는 과학자의 강연, 불을 끈 채 다트 던지는 격"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자신의 삶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느끼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과학을 경제,
신념
, 호기심과 같은 가치와 연관시키라고 덧붙였다. 미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학을 어떻게 대중에게 전달할지 과학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내달 6일 대전 유성구 기초과학연구원(IBS) ... ...
"꾸준히 도전하세요.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2019.11.01
후배 공학도들에게 “처음부터 남보다 특별할 필요는 없다”며 “자신이 추구하는
신념
을 바탕으로 꾸준히 역량을 키워가면 좋은 공학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데이터를 수집하고, 케플러 같은 뛰어난 분석가가 아무런 편견도 없이 (자신의 오랜
신념
조차 버릴 정도로) 가치중립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일반적인 법칙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에서 귀납주의가 성공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게다가 과학은 단순히 귀납주의로만 발전하지도 않았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신중해야 했다. 놀라운 발견일수록 실수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과학계의 기본적인
신념
중 하나였다. 그들은 반 년 동안 관측과 계산을 반복하며 철저히 검증했고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한 뒤에야 네이처에 짧은 논문을 투고했다. 공식적인 발표는 논문 공개보다 조금 이른 1995년 10월 5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