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77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RNA 단위서 노화 속도 제어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8
것이다”고 말했다. 연구에 이종선·김은지 KAIST
생명
과학과 박사후연구원, 이보라
생명
연 박사후연구원, 이혜인 연세대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4일 게재됐다. -DOI: https://doi.org/10.1073/pnas.250521712 ... ...
인간 배아 자궁 착상 영상 세계 최초 공개…불임 원인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8.17
주요 원인인 착상 과정의 비밀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페인 카탈루냐
생명
공학연구소(IBEC)와 덱세우스대학병원 연구팀이 인공 자궁에 기증된 배아를 이식한 뒤 착상하는 과정을 3차원 영상으로 촬영하고 연구내용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5일(현지시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시간→몇 분… AI로 단백질 생성 정확히 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8.17
연구팀은 "이 기술은 신약 개발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단백질 설계와 같은 다양한
생명
공학 분야를 혁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 doi.org/10.1126/science.adv981 ... ...
“지원법이라더니 발목잡는 법”…첨생법·
생명
윤리법 충돌에 발 묶인 바이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7
생성 행위를 지정 의료기관인 ‘배아생성의료기관’에만 허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생명
윤리법 제22조는 체외수정을 위해 난자나 정자를 채취·보존하거나 수정시켜 배아를 생성하려면 복지부 장관 지정을 받아야 한다. 이 지정은 병원 등 의료기관에 한정된다. 결국 상위법과 하위법을 동시에 ... ...
스파링하는 사이가산양…2025 BMC 이미지 경진대회 수상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Alwin Hardenbol 제공 ● 혹등고래 점프! 움직이는
생명
분야 준우승작은 알윈 하르덴볼 핀란드 자연자원연구소 연구원이 차지했다. 노르웨이 바랑에르에서 촬영된 혹등고래(학명 Megaptera novaeangliae)가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장면을 순간 포착했다. Abhijeet Bayani ... ...
슈퍼박테리아 대항마 고세균은 '항생제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고세균은 세균 및 진핵생물과 다른 고유한
생명
영역”이라며 “고세균이 세균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많이 알려진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고세균에 대한 이해를 높였을 뿐 아니라 고세균이 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고세균이 ... ...
의협 “인공임신중절 무제한 허용,
생명
권·여성 건강 위협…입법 중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수 있는 의료인의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태아의
생명
권을 존중하고 여성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원칙 아래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국회에 경솔한 입법 추진 중단과 헌법재판소 결정 취지에 부합하는 개정안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 ...
기상청장에 이미선…첫 여성 기상청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8.13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 기상청 제공 이재명 정부 첫 기상청장으로 이미선 전 기상청 수도권기상청장이 임명됐다. 이 신임 기상청장은 1948년 ... 대해 "국민안전을 위협하는 각종 기후위기 현상을 탐지하고 과학적인 예측정보로 국민
생명
보호에 기여할 경륜 있는 기상전문가다"고 밝혔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연세의료원, ‘2025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3
제공 ■ 연세의료원과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은 오는 2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비슨
생명
연구센터에서 ‘2025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의료 AI와 디지털 치료기기(DTx)를 중심으로 SaMD 규제 디지털 의료제품법 실제 임상 데이터(RWE) 활용 등 최신 생태계 ... ...
폐암 세포만 정조준하는 초소형 나노항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13
'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 부작용을 줄이고 암세포 사멸효과를 극대화했다.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은 정주연 바이오나노센터장 연구팀이 폐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CD155 단백질과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인 'A5 나노항체'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