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뉴스
"
분화
"(으)로 총 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성 장 질환 환자 '희소식'…손상된 장 재생시키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밝혔다. PHF16이 장 줄기세포의 복구·재생을 이끄는 핵심 단백질로 줄기세포 활성화와
분화
를 조절해 장 재생을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장 손상 치료를 위한 표적 치료제 등 신약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재생 유도 메커니즘은 장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분화
, 증식, 세포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p18 단백질은 교세포의
분화
를 유도하고 Dlx2라는 인터뉴런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발현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인터뉴런은 신경세포 간 신호를 중계하거나 처리하는 신경세포다. P18 단백질은 인터뉴런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현해 ... ...
줄기세포 행동 원격 제어하는 '수학적 모델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리간드 연결성을 가역적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줄기세포의 부착과 기계적 신호전달,
분화
를 제어했다. 특히 그래프 이론 기반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시스템을 활용해 리간드 연결성을 정량화했다. 덕분에 조직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거동의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강 교수는 이번 ... ...
암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려 치료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가역 치료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정상세포의
분화
궤적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암 가역화 치료타겟을 발굴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라고 강조했다. 공정렬 KAIST 연구원, 이춘경·김훈민·김주희 KAIST 박사과정생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상단에서 빠르게 뿜어져 나오는 화산 가스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형태로 생성된 새
분화
구를 통과할 때 고리 모양의 연기가 나타난다. '가장 작은 이식'. K. Morimoto et al./bioRxiv 제공 '가장 작은 이식'이란 제목의 사진은 일본 지케이대 연구팀이 4월 엄마 쥐의 자궁 속에 있는 태아 쥐에게 다른 쥐 ... ...
화성 로버 '퍼시비어런스'
분화
구 가장자리 등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가 처음 착륙했던 거대 크레이터(
분화
구)의 가장자리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NASA는 퍼시비어런스가 화성 예제로(Jezero) 크레이터 가장자리를 오르는 데 성공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등반에서 퍼시비어런스는 3개월 반에 걸쳐 ... ...
[동물do감] 뼈보다 빨리 성장하는 피부, 악어의 독특한 비늘 패턴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활용했다. 관찰이 용이한 나일 악어 배아를 만들기 위해 악어의 난자에 세포의 성장과
분화
를 촉진하는 표피성장인자 단백질을 주입했다. 이를 통해 충분히 발달한 머리 피부를 가진 악어 배아를 생성하고 부화시켰다. 이렇게 악어 배아를 얻은 연구진은 광시트 형광현미경을 사용해 조직 층의 ... ...
심혈관 질환 스텐트 시술 부작용, 레이저 패터닝 기술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가공된 금속 표면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 환경을 조성하면서 평활근 세포의 탈
분화
반응과 과도한 증식이 효과적으로 억제됐다. 특히 주름 표면 위에서 평활근 세포가 자라는 정도가 약 75% 감소했으며 신생혈관 생성 정도는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에 개발한 표면 패턴 기술은 ... ...
신경병증성 통증 제어하는 ‘신경·근육 재생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결과 근섬유로의
분화
및 자체적인 혈관 형성이 가능함을 알아냈다. 또 근육 구조체 내
분화
한 근섬유에 이식된 신경의 재생을 통해 새로운 신경-근 접합부가 형성돼 신경 흥분에 따른 근수축 반응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김준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신경 및 근육 손상으로 ... ...
"새 줄기세포로 호르몬 부작용 없이 탈모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위한 도파민 생성 신경세포와 노인성 황반변성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색소상피세포로
분화
되는 것이 확인됐다. 영장류 동물 실험에서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됐고 조만간 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 제대 내막 줄기세포는 쥐 실험에서 전신 홍반 루푸스로 인한 신장과 폐 손상에 효과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