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도양서 ‘열수분출공’ 2곳 연달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가득 차 있다. 그럼에도 입과 항문 등 소화기관이 전혀 없지만 2m까지 자라는 ‘관
벌레
’ 등 다양한 생명체가 서식 중이다. 이들은 광합성 생태계와는 달리 화합합성을 통해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생명체가 어떻게 극한환경에 적응하는지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준다. 또 주변 생태계가 생명체가 ... ...
[프리미엄 리포트]
벌레
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독특한 방식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포집하는 3차원 표면 구조를 개발한 조영태·김석 창원대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교수. 의료원과의 ... 통해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남윤중 제공 ※관련기사 과학동아 11월호, [엣지 사이언스]
벌레
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 ...
물고기의 혀가 되는 기생동물
팝뉴스
l
2021.10.30
공개해 큰 화제가 된 사진이다. 사진은 물고기를 촬영했는데 자세히 보면 입 속에
벌레
모양의 동물이 있다. 이 동물은 물고기의 입에 들어가 혀를 잘라내고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이후에는 물고기의 점액을 먹으면서 산다. 이 동각류의 동물은 숙주의 기관을 대체하는 것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6년부터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연구해왔다. 밀웜(갈색거저리 애
벌레
)의 장내에서 찾은 미생물 300여 종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분해 실험을 마쳤다. 지금은 이 중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미생물 7종을 찾아 최종 검증을 하고 있다. 플라스틱을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큰 이익이 될 겁니다. 속담부터 바꿔야겠죠.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는 새가
벌레
를 잘 잡는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013년 07월호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 ...
곤충 모방 비행로봇 발명한 박훈철 건국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박 교수는 2002년 건국대 호숫가를 산책하던 중 무당
벌레
가 날개를 접었다 펼치며 비행하는 모습을 보고 모방 연구를 떠올렸다고 한다. 박 교수는 “이상하게도 그날따라 눈앞에 느린 화면이 재생되듯 보였다”며 “연구를 처음 시작할 때 은퇴하기 전해 꼬리날개가 없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피톤치드’(phytoncide)도 사실은 숲의 나무들이 자신을 괴롭히는
벌레
·박테리아·균류를 제거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살생물질이다. 살생물질의 독성은 농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아무리 독성이 강한 살생물질이라도 충분히 묽으면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 ...
고추에 치명적인 새 변종 바이러스, 국내서도 출현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고추와 토마토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켰다. 칼라병은 방제가 어려운 크기 1.5mm 남짓의 총채
벌레
가 옮겨 급속도로 감염이 확산하는 특성이 있다. 시설재배 농가는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국내에서도 칼라병 내병성 고추품종이 개발되 이후 피해는 줄었다. 그러나 최근 칼라병이 다시 재발하고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레너 교수는 “최근 재배되는 수박은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곰팡이, 바이러스,
벌레
등에 의한 질병에 취약하다”며 “이번에 발견한 질병 저항 유전자 3개를 이용해 병충해에 강한 수박 품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재 재배종과 가장 가까운 코도판 멜론에서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
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많은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유력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열수 분출구 주변에서 화살
벌레
는 이전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향후 남극 중앙해령 열수 생태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미 불가사리. 크기는 2cm 정도로 작다. 극지연 제공 박 책임연구원은 “거미 불가사리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