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타
배척
척거
추방
쫓아냄
제외
제적
뉴스
"
배제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기대된다. 과거 몇 개의 별이 다이슨 구체 후보에 올랐지만 이후 관측 결과 가능성이
배제
됐다. 현대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외계생명체를 찾은 사례는 없다. 스티브 크로프트 브레이크스루 리슨 수석 연구원은 "우리가 우주에서 유일한 생명체 거주 행성이라면 정말 이상할 것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연구팀은 '조건부 낙아웃 모형'이라는 유전자 조작법을 사용해 MDGA 단백질 기능을
배제
한 정교한 쥐 모델을 활용했다. 실험 결과 MDGA1 단백질이 삭제되면 억제성 시냅스의 숫자와 강도가 증가하고 MDGA2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논란이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투과할 수 있는 빛의 파장 간격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온인 빛의 파장을
배제
하고 선택적으로 빛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분자 구조를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수준에서 구현해 섬유에 반영했다. 광범위하게 빛을 산란시켜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인 폴리메틸펜텐(PMP)과 단열 능력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일이다. 산업부가 그동안 우리나라 자원 탐사를 전담하고 있던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배제
한 이유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상당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세계적 에너지 개발 기업이 이번 개발에 참여할 의향을 밝히고 있다"는 산업부의 일방적인 주장도 시대착오적이고 낯 뜨거운 억지다. ... ...
물리학계 "한국, CERN 연구에 숟가락만 얹는다 압박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환경, 의료 등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는 만큼 현재의 협력사업만으로는 한국 연구자들이
배제
되는 영역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리더가 될 수 있는 과학자들을 키우려면 준회원국으로 가입해 활동 반경을 넓히고 ‘어느 정도 주인’이 돼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물리학계는 CERN 준회원국 ... ...
소·인간도 감염되는 조류독감 변이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수 있도록 변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 한국에 전파될 가능성도
배제
못 해 한국도 조류인플루엔자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지역이다. 최영기 센터장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과거 철새를 타고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넘어갔듯이 다시 넘어올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
우리 뇌는 설명 안되는 경험 오래 기억한다
2024.05.14
우선적으로 기억하려 한다”며 “예측 가능한 경험이나 놀랍지 않은 순간은 기억에서
배제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보다 효율적인 기억 시스템을 가진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 ...
같은기관 연구자가 과제 평가 못하는 '상피제' 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동일 부서로 줄어든다.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가 과도한 제한 규정으로 평가에서
배제
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한 게 목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개정안을 23일 제59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고 29일 ... ...
물과 가스 얼려 방사성 오염수 담수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천연가스가 얼음 형태로 된 물질인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체가 어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배제
되는 원리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팀은 먼저 방사성 폐수 속에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존재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의 영역을 조사해 방사성 이온은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결정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다양성이 참혹한 미래에 직면해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6번째 대멸종의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는 얘기다. 과거 지구에서 일어난 대멸종 중 가장 규모가 컸던 백악기 말기 '5번째 대멸종'에선 생물종의 75%가 사라진 바 있다. 기후변화가 일으키는 생물종 멸종에 대처하기 위한 연구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