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뉴스
"
밭
"(으)로 총 136건 검색되었습니다.
[H의 맥주생활 (14)] 꽃이 내게 와 맥주가 되었다
2016.12.23
모아 키우던 홉을 따고 맥주도 딴다고… 작년 행사에 참여한 사람이 올린 ‘사탕수수
밭
에 팔려온 노예처럼 일했다’는 후기가 마음에 걸리지만, 맥주 4대 재료 중 하나를 수확해 볼 기회는 여간해서는 오지 않을 것 같다. 맥주에 들어가는 홉은 운송과 보관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 사료처럼 생긴 ... ...
중국 최초 한중 합작 평화의 소녀상이 상하이에 설치된 이유가 뭘까?
2016.11.18
달 22일 비가 내리는 상하이 사범대 교정 원위엔로(文苑楼) 앞 잔디
밭
에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되었다. 지난 해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가로공원에 설치된 한중 평화의 소녀상에 이은 두 번째 한중 합작 평화의 소녀상이자 중국 현지에 최초로 설치된 의미 깊은 위안부 소녀상이다. 중국에 최초로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곡물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데다 원료를 확보하려면 숲을 개간해
밭
을 만들어야 하므로 전혀 친환경이 아니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따라서 최근 2세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자들은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황산으로 처리해 셀룰로오스 등 ... ...
서울 세계 불꽃 축제를 제대로 즐기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6.09.28
이촌지구는 같은 시간대 여의도보다는 여유롭게 불꽃놀이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잔디
밭
에 앉아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돗자리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이 북적거리지 않는 곳을 선호한다면 노량진주차타워와 여의도 주변 건물 옥상도 염두에 두세요. 조금 멀긴 하지만 선유도와 N서울타워도 ... ...
[책의 향기/150자 서평]라이프니츠, 뉴턴 그리고 시간의 발명 外
동아일보
l
2016.06.25
1만9000원. 뇌와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비판 뇌, 인간의 지도(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추수
밭
)=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인 저자가 뇌와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하고 과장된 논의를 비판한다. 좌뇌형 우뇌형 인간 담론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좌뇌와 우뇌가 어떻게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도 협력하는지를 ...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
2016.06.14
대해 알아볼까요? 먼저 수수두꺼비라는 이름은 1930년대 호주에서 사탕수수(sugar cane)
밭
의 해충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데서 붙여진 것입니다. 이 두꺼비는 세상에서 가장 큰 두꺼비로 그 길이가 최대 20cm 이상 자란다고 합니다. 또한 머리 부위에 독이 있는 맹독성이고, 아주 쉽게 새로운 지역으로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날도 좀 더워 차분히 감상할 분위기는 아니었다. 그런데 장미정원 가는 길에 양귀비꽃
밭
이 펼쳐져 있었다. 한 2000~3000m2에 이르는 꽤 넓은 공간을 활짝 핀 양귀비가 꽉 채우고 있었다. 장미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정말 장관이었다. 문득 15년 전 그라스가 떠올랐다. 사실 모네가 그리고 필자가 ... ...
세상을 향한 삐뚤어진 적개심… 연인-이웃이 돌변했다
동아일보
l
2016.05.28
마형 범죄와 달리 알고 지내던 사이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도 특징이다. 2010년 ‘충북 인삼
밭
살인 사건’처럼 평범한 이웃이 한순간에 흉악범으로 돌변하기도 한다. 박모 씨(당시 52세)는 이웃인 반모 씨(당시 46세)가 자신의 농기구를 만졌다는 이유로 말다툼을 벌이다 콘크리트 벽돌로 내리쳐 ... ...
[충남 당진 여행 上] 석문호, 필경사에서 책임감을 돌아보다
2016.05.26
필경은 그의 시집 원고 중에 있는 시의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말 그대로 붓으로
밭
을 가는 집이란 뜻이다. 그 왼편으로 심훈 선생이 잠든 묘소가 있다. 기념관이 건립되기 앞서 심재호 선생은 경기도 안성에 있는 아버지의 유골을 이곳으로 이장했다. 72년만에 작품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로써 ... ...
산악사고 급증의 계절… ‘낮 12시 북한산行 50代’ 조심하세요
동아일보
l
2016.05.23
것이 중요하다. 한라산 국립공원 관계자는 “오전 늦게 입산하신 분들이 서둘러서 진달래
밭
대피소를 통과하려고 욕심을 내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초반부터 체력을 급격히 소진하기 때문에 탈진 가능성이 높아진다. 속리산 월출산 월악산에서는 사망 사고 비율이 높았다. 북한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