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익
천서
배트
뉴스
"
박쥐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기원 보고서 결론 부실 비판 의식했나…WHO "후속 평가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코로나바이러스인 RaTG13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게놈이 96% 일치한다”며 “추가 조사에는
박쥐
가 꼭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네이처에 따르면 WHO는 이미 추가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WHO 국제 조사단 일원인 도미닉 드와이어 호주 시드니대 의대 교수는 네이처에 “2020년 1월 이전 중국에서 ... ...
"중국 실험실서 코로나 유출 가능성 낮다" WHO 최종보고서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9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파된 과정에 대한 가능성을 기준으로 목록을 제시했다.
박쥐
에게서 인간으로 직접 전파됐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있음(possible to likely)’을, 중간 숙주 동물이 있다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매우 높음(likely to very likely)’이라고 제시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않는 사람들의 반려동물 접촉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박쥐
로부터 중간숙주로 알려진 천산갑을 거쳐 사람에게 그리고 사람으로부터 주변 동물들에게 확산되고 있다. 현재까지 감염이 확인된 동물들은 총 6종이다. 출처 Sreenivasan et al., 2020 고양이와 같은 과(family)인 ... ...
WHO 조사단 “족제비오소리와 토끼가 코로나바이러스 중간숙주”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9 바이러스가 어떻게 인간에게 전파됐는지 그 기원을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 그 중
박쥐
의 코로나바이러스가 다른 중간 숙주의 몸을 거쳐 인간에게 감염됐을 것이라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현재까지 중간 숙주로는
박쥐
, 천산갑, 사향고향이 등이 지목됐다. 이번에 WHO 조사단이 지목한 ... ...
코로나19 잠재 숙주 알려진 종보다 30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것보다 30배 많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숙주로 추정되는 관
박쥐
는 무려 68종의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숙주 후보 중 하나로 지목받는 천산갑도 코로나바이러스 14종에 감염될 수 있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바이러스의 숙주로 ... ...
기후변화로 서식지 옮긴
박쥐
들, 코로나19는 보이지 않는 기후재앙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나서야 미래 감염병 위협 차단 연구진은 “기후변화의 결과로
박쥐
종의 전세계 분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이해하면 코로나19 발병의 기원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며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종간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자연 ... ...
"중국, WHO에 코로나 기원 밝힐 초기 데이터 제공 거부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WHO 조사단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이러스가 일본과 캄보디아, 태국
박쥐
에서 발견되는 점을 들어 이들 국가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2일(현지시간)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해 “모든 가설에 대해 ... ...
"누락된 정보 연결하고 상상력 발휘해 감염병 시대 대비해야" 美 AAAS연례회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
박쥐
는 지난 25년동안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인수공통감염병을 전파해왔다는 점에서
박쥐
개체군의 변화를 관찰하면 미래 공중보건 위협에 대한 사전 경고시스템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왕 교수는 현재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해 글로벌 감시 프로토콜과 국제 표준 측정 단위 등을 만들 고 ... ...
WHO 조사단 “우한바이러스연구소·냉동식품 코로나 기원 아냐...야생동물 전파 가능성에 무게”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가장 높다. 하지만 기자회견에 동석한 중국국가보건위원회의 리앙 워니안 교수는 “
박쥐
나 천산갑에서 확인된 바이러스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기원으로 보기엔 유전적 유사성이 충분치 않다”며 밍크나 고양이도 잠재적이 후보군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中 우한 간 WHO조사단이 밝힌 '중요한 단서' 동물·인간 매개 흔적 찾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바로 사람에게 전파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2013년 중국 윈난성
박쥐
에게 발견된 바이러스와 코로나19를 유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같은 조상에서 나왔지만 실제 숙주가 따로 있을 가능성이다. 중간 매개 숙주로 천산갑이 지목되기도 했다. 중국 우한이 코로나19의 첫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