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뉴스
"
무리
"(으)로 총 1,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시상하부 표면에 있는 띠뇌실막세포는 교세포의 하나로 길쭉하게 생겼다. 띠뇌실막세포
무리
의 모습을 비유하자면 목재(시상하부)에 못을 여러 개 박아놓은 형상이다. 추가 실험 결과 띠뇌실막세포는 온도 정보를 뇌간의 구성원인 뇌교에 있는 부완핵에서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부 등 몸의 여러 ... ...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어둑어둑해진 저녁 바다에도 야광충의 흔적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바캉스는 아쉽게 마
무리
됐지만 야광충을 보지 못한 게 바다엔 좋은 일입니다. 야광충은 독성이 없는 무해성 적조긴 하지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홈페이지에는 "야광충이 대발생하면 그 지역의 해양생물이 호흡하기 어려워 대량 ... ...
"'적당한 음주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들, 설계 결함"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술을 마시지 않는 이유에 대한 파악이 부족해 평생에 걸친 음주 습관을 설명하기엔
무리
가 있다는 분석이다. 예를 들어 중간 정도의 음주자가 이미 여러 건강 문제가 발생해 술을 끊거나 줄인 '금주자'와 '가끔 음주자' 그룹과 비교됐다. 연구팀은 "이러면 술을 계속 마시는 사람이 훨씬 건강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 위협 '흰코 증후군'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취하는 박쥐들이 주된 타깃이 된다. 흰코 증후군은 특정 지역에서 서식하는 박쥐
무리
의 95%를 폐사시킬 만큼 치명적이지만 마땅한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그간 밝혀지지 않았다. 박쥐는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이나 곤충이 매개하는 질병 확산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 질병의 ... ...
"과학자 꿈 위해 자퇴합니다"…서울대 이공계 1학년 자퇴생 매년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연구실 연구 경험이 많으면 석사 과정을 이수하지 않아도 해외에서 박사 학위를 따는 데
무리
가 없어 미국 명문대의 경우 1학년 1학기부터 연구 기회를 가질 것을 적극 권장한다"고 말했다. B씨는 또 "서울대에서 같은 과 1학년 50여 명 중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학생은 1명이었을 정도로 연구 기회를 ... ...
"사직 전공의, 행정처분 안해" 면죄부 논란…전공의들은 '시큰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데 대해 대통령과 복지부 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사과에 나서야 한다“며 ”의대 정원을
무리
하게 늘려 의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한국 의료 붕괴를 이끌고 있다는 점에 대한 인정과 반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공의들의 반응이 이처럼 시들한 만큼 정부의 사직 전공의 미처분 효과가 얼마나 ... ...
교육부에 반기 든 의대 교수들…의협, 전공의 참여 회의로 대표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생각하는지 (정부의 생각이) 걱정된다"고 반박했다. 가톨릭의대 비대위는 5일 "
무리
한 의대 정원 증원이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는다고 자신할 수 있다면 오히려 의평원에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잘 평가해달라고 하며 자신감을 보여야 할 것"이라며 "의평원을 정부 압력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산재로 연조직까지 보존된 삼엽충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6.30
딱딱한 껍질만 보존돼 있다. 연구팀이 하이아틀라스 산맥의 화산암에서 발견한 삼엽충
무리
화석은 입, 더듬이 같은 몸의 연조직이 보존돼 있었다. 연구팀은 삼엽충 주위 화산이 갑작스럽고 빠르게 폭발하며 화산재가 삼엽충을 덮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세한 입자의 재가 삼엽충 표본의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스웨덴 스톡홀름대 고생물 유전학센터 연구팀은 매머드 마지막 개체군에 해당하는
무리
가 특정한 섬에 분리돼 6000년 동안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느린 속도로 감소했다는 분석결과를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에 존재했던 마지막 매머드는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제라드 탈라베라 바르셀로나식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기아나에서 작은멋쟁이나비
무리
를 발견했다. 작은멋쟁이나비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지만 당시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됐다는 학계 보고는 없었다. 나비들의 날개가 너덜너덜하고 구멍이 뚫린 점을 발견하고 탈라베라 박사는 이들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