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쾌
명확
확실
분명
뉴스
"
명백
"(으)로 총 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괴담과 가짜 뉴스를 퍼 나르는 통로가 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 과학이 어려운 것은
명백
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과학에 대한 언론의 무지가 무한정 용납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전문가 집단이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엉터리 정보를 쏟아내는 것을 확실하게 가려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특히 ... ...
당뇨병 환자의 이상지질혈증…“환자 특성 따라 치료전략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문제가 될 정도로 심하지 않다. 황 교수는 ”약제 복용에 따른 심혈관질환 예방의 이득이
명백
하고 약제의 부작용에 따라 손실의 위험을 크게 상회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반드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당뇨환자에게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관리는 현재 삶의 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정체를 알 수 없는 ‘문과 침공’ 논란
2023.02.15
‘미적분·기하’를 이과생의 자격기준이라고 우기는 것은 교육 통계를 왜곡시키는
명백
한 쓰레기(garbage)다. 그런 엉터리 자격기준으로 대학입시의 현실을 함부로 재단해서는 절대 안 된다. 사교육 시장이 쏟아내는 혼란스러운 통계 자료도 경계해야 한다. 인문계열의 ‘추가 합격자’의 수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양의 발암물질을 한 번 섭취했다고 당장 암에 걸릴 듯이 호들갑을 떨 이유도 없다는 것이
명백
한 과학적 진실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900편을 ... ...
겨울축제 중단케 한 '이상기온' 원인은 결국 '인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북극권의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은 기후변화 학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태 중 하나다. 땅 속 얼음에 갇혀 있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방출돼 기후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어 ... 기후 변화의 원인에 동의한다”며 “인간의 영향이 대기와 바다, 육지를 데웠다는 것은
명백
하다”고 밝혔다 ... ...
"코로나19 알약, 백신 접종자들 입원·치명률 감소효과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접종률이 높은 집단에서는 백신이 효과를 보여 입원이나 사망을 줄였기 때문에 약물의
명백
한 이점이 없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몰누피라비르는 증상 지속기간을 약 4일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바이러스 배출도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외에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보의 수위가 올라가면 인접 지역의 지하수도 넉넉해지는 것은
명백
한 진실이다. 지역 농민들이 보의 해체·개방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과학보다 이념을 더 강조하는 엉터리 전문가와 시민단체는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 녹조를 일으키는 ... ...
60년 논란 종지부 찍을까…英 연구팀 "우울증과 세로토닌 연관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칼리지 런던(UCL) 정신의학과 교수팀은 낮은 세로토닌 수치가 우울증의 원인이라는
명백
한 근거가 없다는 리뷰 논문을 국제학술지 '분자 정신의학'에 발표하기도 했다. 몬크리프 교수는 이번 ICL 연구팀의 논문에 대해 연구의 규모가 작았다는 것을 근거로 "이 연구는 세로토닌 이상이 우울증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기대할 수 없다. 인공적으로 생산한 합성 화학물질은 모두 발암물질이라는 주장은
명백
한 가짜뉴스다. 실제로 IARC가 발암성을 평가한 화학물질의 절반은 어떠한 발암성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는 ‘3군’(Group 3)으로 분류된다. 암은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발암물질에 한 번 노출되었다고 당장 ... ...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 이끈 미 논문 조작 논란…16년간 세계 과학계 오도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약물과 관련된 연구 논문에서 공개된 이미지를 조사했고 수십 건의 학술지 논문에서
명백
하게 조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미지를 식별했다. 카사바사이언스 측은 이런 의혹과 관련해 위법 행위를 부인했지만 슈래그 교수는 2006년 네이처에 발표된 레스네 교수의 논문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