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66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보는 노벨상]② 인류를 위한 에너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5.03.01
그라첼 교수는 1991년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개념을 처음 제안하며 페로브스카이트 연구의
기초
를 마련한 인물로 태양광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미야사카 교수는 기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흡수층에 처음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적용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가 우수한 ... ...
[과기원NOW] GIST, 대학원생 4명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 '과학과 종교의 차이는' 등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8일 국제교류동에서
기초
과학연구원(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주요 관계자와 교직원·학생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이 본격 가동을 시작함으로써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장급 전보 △대변인 조선학 △정책기획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 박태완 △전파정책국장 김남철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최우혁 △
기초
원천연구정책관 김성수 ...
"한국이 주도하는 우주망원경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한국의 대응 방안은. "국제협력은 결국 기브앤테이크라고 본다. 우리가 협상을 하려면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 줄 수 있는 것을 명확하게 확보해야 뭘 달라고 얘기할 수 있다. 아울넷을 통한 한국의 우주물체 감시 데이터 자체 생산도 비슷한 맥락이다. 또 인력이나 자원을 공유하며 과학 연구 ... ...
[인사] 한국연구재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차소영 △연구윤리지원센터장 구자필 △정보화관리실장 이종원 ▽전보 △
기초
연구총괄실장 황구연 △국가전략사업총괄실장 한동성 △국가전략사업평가실장 박춘경 △대학교육실장 최동명 △국제지역협력실장 전호석 △국제인재개발협력실장 백민정 △대외홍보실장 강동환 △연구정책전략실장 ... ...
인공 환각 줄인다…의심하고 검증하는 AI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뇌인지과학과 교수(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장)와 정민환 생명과학과 교수(
기초
과학연구원(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스스로 의심하고 검증하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규명하고 뇌처럼 생각하는 AI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스스로 세운 가설을 ... ...
혈액암 '다발골수종', 이중항체 치료제로 생존기간 3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서울성모병원 제공.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골수종은 암세포가 뼈를 침범해 골절, 빈혈,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재발이 잦 ... 받으면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치료 시작 전 예방접종을 하고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기초
면역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해군사관학교에 지능형 와이파이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고 26일 말했다. 과총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찾고
기초
과학 연구 역량 강화, 인재 양성 등 과학기술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포럼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될 예정으로 유튜브에서 '한국과총'을 검색해서 ... ...
기초
연구 1880개 1차 신규과제 선정…3월 1일부터 과제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안정성은
기초
연구 지원의 주요한 가치”라면서 “연구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기초
연구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비전과 전략 도출에도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시스템 생물학 선구자 '데니스 노블', DGIST 초빙 석좌교수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교수는 1960년대 세계 최초로 가상 심장(Virtual Heart)을 구현해 현대 심장 전기생리학의
기초
를 세운 생리학자이자 시스템 생물학의 선구자이다. 노블 교수는 24일 DGIST에서 '유전자는 생명체의 청사진이 아니다'를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학생들을 만나 향후 연구 철학과 비전을 공유하며 첫 활동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