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품
유품
선물
기념관
기념비
유적
기념시설물
뉴스
"
기념물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홍릉 지역, 홍릉과학단지로 만들어야”
2015.05.11
개발 계획을 수립해 달라는 것”이라며 “개발 과정에서도 과학기술의 전당이나
기념물
을 마련해서 홍릉의 역사적인 의미를 보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실제 활용되는 현장을 확인합니다! 4월 24~25일(금~토, 1박2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
기념물
센터, 서울동물원 동물병원에서 진행될 생명과학 현장 취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유료로 진행됩니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홈페이지(http://minicamp ... ...
박물관서 스마트폰만 켜면 ‘도슨트’가 내 손안에
2015.01.12
실내측위분야에도 유용할 것으로 보고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
기념물
센터와 전주한옥마을에서 시범 서비스 역시 시작했다. 입구에서부터 한옥마을 전체를 가상체험 하고 원하는 곳으로 즉시 이동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ETRI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이현우 실장은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산나리, 가을에는 단풍과 억새, 겨울에는 설경 등 4계절 생태경관이 우수하다. 천연
기념물
제465호인 무등산 주상절리대처럼 지질학적 보전가치가 우수한 장소도 산재해 있다. 하지만 무등산 지역이 국립공원으로 거듭나는 데는 우여곡절이 컸다. 이 책은 무등산의 국립공원 지정에 얽힌 이야기를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군과 생태사진 전문가인 장성래 작가가 함께 작업한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
기념물
204호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팔색조는 발견하기 쉽지 않은 새다. 저자들은 남해지역 곳곳에서 팔색조 둥지를 찾아 어미 팔색조가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기르는 전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꼬리뼈 퇴화를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태헌 과장은 “이번 성과를 천연
기념물
인 경주개 동경이의 혈통 보존과 유전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며 “개의 형태학적 특성과 동물의 진화과정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이 독수리, 썩은 고기 먹고도 건강하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3.31
감소했다. 국제적으로도 멸종위기종 준위협종 목록에 올랐으며 국내에서는 천연
기념물
제243-1호,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됐다. 다행히 한국을 찾는 독수리의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문화재청이 월동하는 독수리에게 먹이주기 활동을 지속한 덕분에 전국의 월동지역 48곳에서 개체수가 ... ...
운석 국외방출 금지령…천연
기념물
지정도 논의
과학동아
l
2014.03.24
공항과 항만은 물론 국제우체국 등에 통관검색 강화를 17일부터 요청한 상태이며, 천연
기념물
지정 추진 여부에 대해서도 대책반 논의 등을 통해 검토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운석의 학술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국가 차원의 운석 관리체계를 논의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반을 구성해 ... ...
"나는야 6000살 먹은 물고기라네"
과학동아
l
2014.03.13
용천동굴 속 호수에서 발견된 미끈망둑속 어류 - 제주대 제공 천연
기념물
제466호 제주 용천동굴 속 호수에서 희귀어류가 6000년 넘게 서식하면서 진화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대 해양의생명과학부 송춘복 교수팀은 제주 용천동굴 내부 호수에 희귀어류인 미끈망둑(Luciogobius)과 같은 속(屬)에 ... ...
육식공룡이 채식? 통념 뒤집는 공룡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것이라고 2010년 ‘사이언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
기념물
센터 팀장은 “지구에 운석이 충돌한 뒤에도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체온을 잘 지킬 수 있는 깃털공룡들이 지배적 위치에 있었을 것”이라며 “실제로 깃털공룡들이 현재 새의 조상”이라고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