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소
제조소
장인
목수
공장폐쇄
폐쇄
패쇄
뉴스
"
공장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 소음 지속 노출 근로자, 고혈압 위험 1년에 10%씩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연구팀은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방글라데시 나라양간즈 아라이하자르 하위 지구의 직조
공장
에서 일하는 성인 근로자 289명을 조사했다. 대면 인터뷰를 통해 식습관, 가족 병력 등의 설문을 진행하고 혈압, 키, 체중, 노출된 소음 강도를 측정했다. 조사 대상자들은 대부분 기혼 남성으로 평균 3 ... ...
무선신호 없이도 치매노인·미아 찾는 통신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카이로스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은 위치 인프라가 설치되지 않은 건설 현장과
공장
건물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기능과 성능을 평가하는 6차례의 개념 증명(PoC) 과정도 수행해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또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이런 상황에 적용하기 쉬우며 소방관이나 경찰의 도움이 ... ...
[푸드테크 뜬다]⑨ 파스타부터 커스텀 커피까지…주방·외식 생태계 바꾸는 로보틱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드러냈다. 크레오코리아는 박 이사를 포함해 총 3명이 창업했다. 박 이사는 "과거 식품
공장
의 조리 기준 등을 관리하는 스마트솔루션을 납품하던 중 더 큰 외식산업으로 눈을 돌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 명 다 개발자고 먹는 데 진심"이라며 "연구실에서 상상하는 게 아닌 당장 쓸 수 있는 ... ...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발생한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와 지난 6월 발생한 경기 화성시 리튬 전지
공장
화재 등 배터리 화재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폭발 위험이 없는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전지 연구를 위한 설계 도구를 제작하고 배포해 전고체전지 상용화 ... ...
[뉴스페이스로드]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누리호 참여기업 불만 터졌다(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기간이 필요하다고 한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우리 기업은
공장
의 절반이 발사체 관련 설비인데 누리호 3차 발사 프로젝트 이후 사실상 가동이 중단된 상태”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누리호 개발에 참여했던 협력업체들의 이같은 우려에 대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쎄트렉아이, 민간 광학위성 1·2호 개발…위성 분야 뉴스페이스 신호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쎄트렉아이
공장
에서 직원들이 상용 지구관측위성 '스페이스아이-티(SpaceEye-T)'를 제작하고 있다. 쎄트렉아이 제공 인공위성 개발기업 '쎄트렉아이'가 지난해 매출액 대비 약 138%에 해당하는 규모인 정부의 민간 광학위성 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쎄트렉아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172 ... ...
재생에너지로도 공기중 이산화탄소 효율적으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하루 1톤 규모로 키운 다음 화력발전소,
공장
등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에도 적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규남 연구원은 "대기 오염 문제 해결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는 중요 성과"라며 "기술을 발전시키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아버지는 뢴트겐이 사업을 물려받기를 원했으므로 정규교육을 제대로 시키지 않고
공장
과 사업일을 배우게 했다. 그러나 사업보다 공부에 흥미를 지닌 뢴트겐은 시간이 남는대로 동네에 있던 기관차 차고에서 시간을 보내며 기계가 움직이는 원리에 관심을 가졌다. 또 기계를 다루는 노동자들이 ... ...
'에너지
공장
'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이 메커니즘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미토콘드리아 DNA의 유전적 다양을 현상을 최초로 규명한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가 평생 동안 축적한 DNA 돌연변이가 유발하는 인체 내 유전자 변이 현상의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세포 간의 유전적 다양성(모자이시즘)을 밝힌 성과로 인체의 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수소에서 아세틸CoA를 만들어 생체분자의 재료로 쓰거나 에너지를 얻는다. 루카는 단백질
공장
인 리보솜(ribosome)이 있고 바이러스(파지)의 침입에 대응하는 초기 캐스(Cas) 기반 면역계도 갖췄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처 생태학 & 진화 제공 그 결과 루카는 약 42억 년 살았고 게놈 크기가 약 270만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