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뉴스
"
겉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과학동아
l
2023.03.04
상당량의 폐열도 발생한다. Shutterstock ● 자율주행 AI 똑똑해지면 탄소 배출 증가?
겉
보기에는 큰 관련 없어 보이는 자율주행차량도 잠재적인 디지털 탄소 배출원이 될 수 있다. 지난 1월 수미야 수드하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IEEE 마이크로’에 근미래 전체 차량 중 95 ... ...
어린이 시기, 여아 뇌가 더 성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데이터를 통해 회백질과 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했다. 회백질은 대뇌와 소뇌의
겉
층을 이루는 부위다. 신경세포체, 수상돌기, 신경 교세포가 모인 곳으로 우리 몸에서 생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백질은 회백질과 회백질 사이를 연결하는 조직이다. 지각신경과 운동신경과 연관이 있는 유수 ... ...
2억2000만년 전 살았던 가장 '펑키한' 양서류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이들은 눈도 발도 없이 검붉은색 몸에 코 주변 감각기관으로 먹이를 사냥해 살아간다.
겉
보기에는 양서류보다는 뱀이나 거대한 지렁이처럼 생겼다. 2021년 8월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살아있는 상태로 발견된 적이 있는데 '괴생명체'가 발견됐다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벤 클리그먼 버지니아공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정체조차 파악을 못하면서 외치는 어설픈 ‘짝퉁 통합’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겉
으로는 ‘통합’을 외치면서 돌아서서는 뜬금없이 ‘맞춤형’을 외치는 ‘고교 학점제’를 시행하겠다는 고집도 버려야 한다. 맞춤형을 핑계로 과도한 편식을 허용하는 반(反)교육적 교육과정은 아무도 용납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을 자랑하지 않아야 행복하다
2023.01.14
작은 행복들을 만끽하는 것만이 “이 정도면 괜찮은 삶”이라는 감각을 가져다 준다.
겉
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한 걱정이 가득한 나머지 내 앞에 놓인 시간들에 충실하지 못한다면 내 삶을 진짜로 사는 것조차 불가능하다. 자랑하지 않고 시기하지 않으며 내게 주어진 시간들에 대해 겸손한 삶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람은 거기서 거기"...나에게 어려운 건 남들도 어렵다
2022.12.03
나한테만 어려운 것이 아니고 모두에게 다 조금씩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겉
으로는 전혀 그렇지 않아 보여도 다들 속으로는 어느 정도 긴장하고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보면 다들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저렇게 카리스마 있어 보이는 사람도, 차갑고 어려워 보이는 사람도, ... ...
얼굴에 큰 종양 마다가스카르 청년, 한국서 새 삶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만지거나 잘못 부딪히면 출혈이 자주 발생해 일상생활이 점점 어려워졌다. 친구들은
겉
으로도 드러나는 거대한 종양 때문에 플란지를 ‘징그러운 혹이 달린 아이’, ‘귀신 들린 아이’라며 따돌리기 시작했다. 플란지는 다니던 학교까지 중퇴했다. 그렇게 10여 년간 종양을 방치하던 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도 고래도 포유류인 이유, 두개골 화석에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생쥐와 건물 크기에 비견될 정도로 거대한 대왕고래는 모두 태반 포유류에 속한다.
겉
보기에 놀랍도록 다른 두 종이 같은 태반 포유류로 분류된다는 사실은 오랜 시간 진화생물학자들에게 풀리지 않는 숙제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포유류 진화의 속도와 차이를 분석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씨앗을 담고 있는 속씨식물과 다르게 씨앗이
겉
으로 드러나 있는
겉
씨식물에 속한다.
겉
씨식물은 가장 오래된 종자식물로 고생대 후기(4억2천 ~ 3억 7천만 년 전)에 등장해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중생대에 번성했으나 점차 줄어 지금 남아있는 종은 많지 않다. 추운 지역에 적응했던 고산 ... ...
한국인 유전체 대규모 분석해 유전질환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찾아냈다. 'A유전자를 가지면 쌍커풀이 생길 확률이 높다'는 식으로 특정 유전자가
겉
으로 드러나는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유전체 분석을 실시한 것은 처음이다. 서울대는 이승근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교수팀이 한국인 7만2000여 명의 유전체 및 표현형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