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환
소집
부르기
호출명령
전갈
신호
d라이브러리
"
호출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전자계산기의 주기억장치는 코어 또는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어 중앙처리기에 의해 직접
호출
될 수 있으나, 그 기억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별도로 디스크 또는 드럼을 보조용 기억장치로 쓰는데, 이것을 가상기억장치라고 한다 역학에서 일정한 구속조건을 어기지 않고 또한 실제로 가능한 질점의 ... ...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관련 회로가 복잡해지고 있다. 이전의 삐삐와 같은 무선
호출
기에는 신호를 받는 기능을 하는 수신안테나만이 필요했다. 하지만 휴대폰의 역할은 음성 신호와 데이터뿐 아니라 영상신호까지 주고받도록 확대됐다. 따라서 휴대폰에 늘어난 기능을 회로에 다 적용하려면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첨단장비는
호출
기다. 주심이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부심은 깃발의 단추를 눌러 주심의
호출
기를 진동시킨다. 하지만 미래에는 심판이 없어질 것이다. 경기장 바깥쪽과 공중에 설치된 적외선 장비로 센서를 장착한 선수의 위치를 파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수점검 ] 미래에는 선수의 몸에는 각종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동전화는 일반 유선전화로 시외교환을
호출
해 차량전화번호를 알리고 교환원이 선택
호출
장치 버튼을 누르면 전파신호가 발사돼 차량 전화의 벨이 울리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통화품질이 나빴음은 물론, 이동전화의 수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없다. 더욱이 국산 유선전화기인 ‘체신 1호’가 ... ...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보낸 화상 메일도 눈에 띈다. 업무상 급히 처리해야 할 것만 회신하거나 전달하고 비서를
호출
했다. 화면에 비서의 걱정스러운 얼굴이 나타난다. “급한 일이 생겨 오늘은 자리를 비워야겠네. 10시부터 화상회의를 할테니 다른 간부들에게 알려주게.”그 동안 운전기사는 GPS(위성위치측정시스템 ... ...
실시간으로 메시지 주고받는 메신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동전화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문자전송 기능은 미국에 있는 이동전화나 문자
호출
기 사용자들에게만 가능하다. 더욱이 영문 메시지만 보낼 수 있어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뉴스 속보 제공하는 국산 메신저비교적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국산 인터넷 메신저로 ... ...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방향 문자 통신 무선 단말기는 송수신이 가능한 문자
호출
기라고 생각하면 일단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에어미디어 사에서 글로톡이라는 단말기를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어포스트 서비스에서는 단순한 문자 송수신 기능 외에도 음성 ... ...
통합메시징서비스 UMS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 메시지 전송이나 확인’의 과정을 거치면 음성과 팩스 자료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다.
호출
기에 메시지를 남기고 확인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인터넷에서는 웹 화면에서 e메일을 보내듯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해외에서도 공짜 이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무료이다. 또 투비슈어닷컴은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1970년대의 도전을 토대로 이동전화에 대중화의 발판이 마련된 것은 1980년대 무선
호출
과 북미식 아날로그 이동전화가 상용화되면서부터다. 1984년 4월 한국이동통신이 시작한 차량이동전화는 오늘날 2천3백만 이동전화시대의 시발점이었고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마침내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 ...
① 테크노크라트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지문 열쇠’를 개발한 적이 있다. 그러나 북한은 남한보다 4년이나 앞선 1994년에 ‘지문
호출
조종체계’(지문열쇠의 북한식 이름)를 발명해 제22차 제네바 ‘국제발명 및 새기술 새제품 전시회’에서 금메달을 받았다. 발명자는 함흥전자계산기단과대학을 졸업한 33세의 이승국이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