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구상
구현
d라이브러리
"
형상화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음향효과도 그림에 맞춰 삽입시키기로 했다. 목소리를 그림에 덧붙이는 것은 인물을
형상화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음악이나 음향효과는 새로운 맛을 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디즈니는 소리를 곁들인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를 1928년에 발표했다. 미키 마우스가 바로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발자취를 유심히 관찰해 한자를 발명했다고 한다. 이후에도 중국한자는 자연물의 모양을
형상화
해 의미 전달을 광범위하게 발전시켰다. 알파벳 알파벳은 대표적인 표음문자이다. 표음문자는 인간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의 첫소리를 대표성 있는 형태로 기록하고 , 그 후 같은 소리를 전달할 ... ...
3. 아무리 복잡해도 한눈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예를 보자. 우편함의 기능을 나타낸 아이콘은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우편함을
형상화
했다. 과연 이러한 물건들을 접해보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될지 궁금하다. 외국의 소프트웨어를 한국에 도입할 때 단순히 영어를 한글로 바꾼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 얼마나 되는지 ... ...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문학적 상상력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영화적 상상력은 시간여행을 보다 그럴싸하게
형상화
하여 시간여행을 소재로 한 다양한 이야기거리를 제공해 주었다. 문학적 상상력이 시간여행을 초자연적인 힘에 의존한데 비해 영화적 상상력은 그것을 좀더 가시화하여, SF라는 장르 안에서 구체적이고 ... ...
3. 자유로운 공간이동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뒤 다시 나타나는 장면이 나온다. 이처럼 물체를 특수한 에너지 형태로 변형시켜 다시
형상화
시키는 기술이 실현될지도 모른다.금년 초 미국 IBM사는 ‘롤링스톤’ 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 재미있는 광고를 냈다. 미국의 한 할머니가 전자우편을 통해 만난 일본의 할아버지에게 따끈따끈한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힘든 노동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들의 바램을
형상화
하거나, 노예를 소유하고 싶은 욕망을 죄의식 없이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들은 SF를 보며 로봇들에게 받들어지는 왕이 되길 꿈꾼다.그런데 사람들이 로봇에게 성(性)을 부여하였다는 사실은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기적’ 은 UFO를 지구를 구원하기 위해 내려온 메시아로 여기는 인간의 종교적 바람을
형상화
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반면 외계인에 대한 공포가 잘 드러난 영화로 돈 시겔감독이 만든 ‘신체 강탈자의 침입’(The Invasion of Body Snatchers)을 들 수 있다. 미지의 행성에서 날아온 외계 생명체가 잠든 사람의 ... ...
4. 마이크로·나노세계 여는 신기술들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입지를 방사(radiation)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감광된 레지스트를 용매로 용해하면 패턴이
형상화
되는데, 이는 사진촬영 및 현상과정과 유사하다. (그림1)은 묘화기술의 기본단계를 보여 주고 있다. 방사물에 노출된 부분이 제거되면 양성이라고 하고, 노출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되면 음성이라고 한다 ... ...
산개성단으로 치장한 카시오페이아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루크바는 무릎을 뜻한다. 상상 속의 여왕이 그럴듯하게 그려질 법한 배치를 니름대로
형상화
해 본 것이다.여러분은 이제 이디오피아의 여왕을 알현할 수 있게 됐다. 그럼 이디오피아의 궁중 코디네이터가 얼마나 '코디'를 잘했는지, 그녀의 장신구와 옷맵시를 잘 뜯어보자. 여러분은 쌍안경으로도 ...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더 잘 알려져 있다. 이 별자리는 거문고로 번역되었지만 사실은 옛 그리스의 하프를
형상화
한 것이다.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유명한 천체는 반지성운(또는 고리성운)으로 불리는 행성상성운 M57이다. 그런데 M57의 경우 고배율에서 보다는 합성초점 1천㎜ 미만으로 촬영했을 때 조그맣게 나타난 반지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