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충"(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나무를 ‘기주식물’이라고 한답니다. 사람들은 나무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하늘소를 해충으로 오해하기도 해요. 하지만 모든 하늘소가 그런 건 아니에요. 특히 이번에 화제가 된 하늘소는 힘이 약해지거나 죽은 나무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산림을 훼손시키지 않아요. 또 전염병을 옮기거나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휴~, 도로를 건너다 하마터면 멧돼지 같이 빠르게 달려드는 거대한 물건에 치일 뻔했네. 이렇게 위험한 도시에 왜 떼로 몰려오게 됐냐고? 우리도 다 사정이 있지. 북한산은 지금 하늘소에게 안성맞춤!지난 여름 왜 갑자기 서울에 하늘소 떼가 나타난 걸까요? 그 원인으로는 먹이와 날씨, 생체 주기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대해 찬반 논쟁이 뜨거워요.먼저 유전자 변형 모기를 찬성하는 과학자들은 살충제 없이 해충을 박멸할 수 있어 환경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해요.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과학자들은 아직 유전자 변형 기술을 적용한 모기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에 푸는 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단계, 또는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징그러운 벌레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해충은 극히 일부에 불과할 뿐,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중요한 생명체랍니다.”애벌레는 앞으로 더욱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될 거라고 해요. 식물은 동물에게 먹히지 않기 위한 방어 전략으로 타닌과 알칼로이드 같은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시 숲으로 돌아오는 것은 숲의 회복에서 중요한 부분이랍니다.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권태성 박사는 1996년 고성 산불이 난 직후부터 개미의 변화를 살펴봤어요. 산불이 났을 때 개미들은 땅속 깊은 곳에서 활동 중이라 피해를 많이 입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내 개미들도 그곳을 떠나야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ha(헥타르) : 면적 단위로, 1ha는 가로세로 100m와 같은 넓이다.이번 산불은 72시간 안에 여의도보다도 넓은 면적의 숲을 잿더미로 만들었어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6일 11:42 산불 발생지난 5월 6일 전국 16곳에서 산불이 발생했어요. 13곳은 빠르게 진화 됐지만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그리고 경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하지만 사기꾼 원숭이에게 속았던 원숭이는 도와주지 않습니다. 결국 사기꾼 원숭이는 해충을 없애지 못해 건강이 나빠지고, 자손도 많이 남기지 못한 채 사라지고 맙니다. 원숭이들은 서로 돕는 행동이 장기적으로 이득이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생활할 때 협력전략을 선택합니다. 이것은 ... ...
- 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지난 5월 6일,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그리고 경북 상주시에서 산불이 났어요. 봄철에 흔히 일어나는 산불이라고 생각했지만,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탓에 산불은 계속해서 번졌죠.결국 3일 넘게 타오른 산불은 40채가 넘는 건물과 수많은 나무들을 집어삼킨 뒤에야 꺼졌어요.이번 산불은 왜 이렇게 ...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번 산불은 아주 작은 불씨에서 시작돼 산 전체를 태울 만큼 커져 버렸어요.무엇이 불씨를 만들었고, 또 그 불씨를 키운 건 무엇이었을까요?건조한 봄철, 사람의 실수가 큰 불 부른다이렇게 큰 피해를 일으킨 산불은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놀랍게도 모두 사람의 실수 때문인 것으로 보여요. 강릉과 ... ...
- 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번 산불은 꺼졌지만 검게 그을린 산에는 동물도 식물도 모두 사라지고, 불에 탄 나무 그루터기만이 남았어요. 황량하게 보이는 산불 피해지는 앞으로 어떻게 바뀔까요?숲이 회복되는 시간, 100년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대형 산불인 1996년 고성 산불과 2000년 동해안 산불, 그리고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