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1
일
d라이브러리
"
한개
"(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복제 광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거의 완벽하게 복제하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3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개
의 광자를 고체 결정에 쏘아 보냈다. 이 결정은 광학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외부에서 광자가 들어오면 빛을 유도방출시킨다.실험 결과 결정에 쏘아준 원래 광자의 편광방향과 이에 의해 결정에서 ... ...
2. 책상 위에서 사용하는 슈퍼컴퓨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7}$ Gauss/cm2 값의 정수배 값만을 갖게 된다. 단자속양자소자의 경우 생성되는 전압펄스는
한개
의 양자화된 자속에 해당하는 값만을 갖게 되는데, 전압펄스와 스위칭 시간의 곱이 정확히 2.07mV/psec(1mV는 1천분의 1볼트이며, 1psec는 1조분의 1초를 나타낸다)가 되는 값이 된다.일반적으로 조셉슨 접합의 ... ...
6개 광학 망원경 묶어 대형반사경 효과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망원경을 묶어 분해능이 높은 한대의 망원경을 ‘만듦’으로써 상당히 먼 거리에 있어
한개
로 보였던 여러개의 별을 개개로 분해해 관측했다고 영국 BBC방송이 3월 19일에 보도했다.6개의 망원경으로 관측해 합성한 영상에는 지구로부터 1백3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처녀자리 에타별(Eta Virginis)을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연구자가 많고, 방사선가속기와 BT, IT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신약
한개
를 발굴하면 자동차 3백만대를 수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위스나 스웨덴 같은 작은 나라가 국민소득 수위권의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이유도 신약산업이 발달돼 있기 때문이다. 자원이 빈약하고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대부분의 화학자는 연금술시대부터 지금까지 목표화합물
한개
를 합성하려면 두가지 원료 A와 B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균일상태로 넣고 A-B를 결합시켜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믿어 왔다. 하지만 록펠러연구소의 메리필드 교수는 달랐다. 1960년대 초, 수개의 아미노산을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포물면이제 잠깐 생각해보자. 망원경의 접시는 어떤 모양으로 생겼을까. 왜 망원경을
한개
로 크게 만들지 않고 여러개로 작게 만들어 복합적으로 작동하게 했을까.우선 망원경의 접시 모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포물선의 성질을 알아야 한다. 망원경의 접시가 포물면이기 때문이다.포물선은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업체가 냉동차로 수거해간다. 적출물 업체가 병원측으로부터 받는 비용은 탯줄과 태반
한개
당 5백-1천원. 탯줄을 화장장에서 소각처리할 경우와 거의 비슷한 비용이다. 감염성 폐기물 처리에 관한 법령에 따르면 탯줄은 다른 인체 조직의 일부와 마찬가지로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된다. 그래서 ... ...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낭비를 막기 위해서였다. 재목이 얼마나 큰지에 관계없이 하나의 재목으로 원기둥은 단
한개
밖에 만들지 못한다. 하지만 사각형의 기둥은 재목만 크다면 여러개를 만들 수 있다.한편 원시인의 움집이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바뀐 것은 내부공간을 구분하기 위해서다. 부계 씨족사회로 바뀌면서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한편 인체는 수억가지 생리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 기능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한개
가 아니라 여러개가 함께 수행한 결과라는 점이 단백질 연구의 또다른 어려움이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백질이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기도 힘들다. 때문에 생명활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단백질 전체를 ...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발표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대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지켜보자. 4팀이
한개
의 집단을 구성해서 토론을 진행한다. 4팀은 각각 발표팀, 반론팀, 평론팀, 그리고 관찰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각 팀이 4개의 역할을 교대로 돌아가면서 수행해야 대회가 끝난다. 즉 4회전으로 진행된다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