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래
d라이브러리
"
토사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평탄한 황토고원을 해체하고 있다. 황하의 물이 누런 이유는 이렇게 황토고원에서 깎인
토사
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이곳의 황토는 바람에 의해 수백km 이상 이동될 수 있는 직경이 0.01~0.05mm인 미립물질로 구성돼 있다. 이 입자들은 겨울에 얼었던 땅이 녹고 수분이 증발돼 입자들 간의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하천이 흐른다는 것이다.콜로라도강은 봄철에 눈이 녹으면 격심한 홍수가 일어나고
토사
량이 많아 수자원이용에 애로가 있었다. 그래서 20세기 초부터 세계최초로 다목적댐이 건설돼 왔다. 이에 따라 그랜드 캐년에도 포웰호 미드호 등 거대한 인공호가 생겨났다. 이 인공호는 협곡내의 각종 ... ...
20세기 마지막 거대토목공사 기술적 난관 극복한 영(英)·불(佛)해저터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공사중 가장 큰 난관은 작업원 부품 보급품 등을 공사현장으로 수송하고, 굴착기로 파낸
토사
를 밖으로 반출하는 일이었다. 이러한 모든 운반은 양쪽 해안으로 뚫린 두개의 통로를 통해서만 가능했다.영국쪽에서는 처음 수송용 열차에 문제가 발생했다. 터널굴착기는 무게가 1천5백t, 길이가 3백m나 ... ...
붕괴위기에 처한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파괴되어진 열대림이 사바나로 변한 것이다. 더욱이 '산악지대의 사막화'라 할 수 있는
토사
붕괴가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다.금세기 초에 2백24만명이던 인구는 현재 1천2백만에 가깝다. 1인당 GNP가 1백80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중의 하나다. 인구의 85%는 영세농민으로 그 중 다수는 화전과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될 것입니다.신희-첫날 본 대암산 용늪의 장관은 오랫동안 잊을 수 없을 것 같아요.
토사
로 인한 용늪의 천이와 비로용담 끈끈이주걱 등을 직접 확인한 것이 저에게는 큰 소득이었습니다. 돌아가면 수목원등에 학생들과 함께 찾아가서 각 식물별 키 캐릭터(key character)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9월 중순에서 10월에 걸쳐 월동준비를 하는데, 연필만한 굵기의 나뭇가지에다
토사
한 실을 몇번씩 되풀이해 감는다. 겨울에 눈보라가 쳐도 도롱이가 떨어지지 않게 튼튼한 띠를 만들기 위함이다. 중부 이북에는 살지 않는다왕도롱이벌레는 열대성 곤충이므로 중부 이북에는 살지 않는다. 필자가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깊으며 호숫물이 맑고 푸르다. 호수는 오랜 기간을 두고 식물성플랑크톤의 사체와
토사
가 호수 바닥에 축적되어감에 따라 수심이 얕아지고, 영양염 농도가 증가하며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력이 왕성해지는 변화를 겪게 된다. 자연계에서 호수의 부영양화는 매우 완만한 속도로 진행되며, 수천년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먹이의 섭식을 중지하고 무우 배추 양배추잎 뒷면에 용화(蛹化)를 하기 위하여 입에서
토사
(吐絲)한 실로 자신의 몸을 자신이 붙어 있던 잎에 튼튼하게 고정시켜 몸을 묶는다.그러나 이 단계에서 배추벌레고치벌에 기생당한 배추벌레는 자신의 몸을 고정시킬수도 없고 몸을 묶지도 못하게 된다. 그때 ... ...
아직도 널리 쓰이는 민속요법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담배를 붙인다’와 스무번째로 ‘갑오징어 뼈를 갈아 붙인다’였다.쑥은 복통
토사
지혈(피를멈춤)에 효과가 있다. 쑥은 지혈시간과 응고시간을 단축시켜 지혈을 돕고 피부진균에 강한 억제작용을 한다. 갑오징어 뼈에는 지혈(止血)과 제산(制酸)효과가 있어, 상처를 빨리 아물게하는 데에 특히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다른 잎으로 각각 흩어져 잎의 끝 부근에 가느다란 실을 뱉어낸다(吐絲). 유충들은 다시
토사
한 자리에서 잎맥 끝으로부터 잎자루쪽에다 머리를 향하여 정지해 있다가 잎을 섭식(攝食)하게 된다.약령유충(若令幼虫)에서는 잎의 중맥(中脈)을 남기고 잎가장자리에서부터 섭식하는 경우도 있고, 점과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