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칼"(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하늘을 뒤덮은 화살에 여진족과 명나라 연합군이 속수무책으로 쓰러진다. 도망치려 하지만 이번에는 커다란 화살이 불과 연기를 내뿜으며 하늘에서 떨어져 강력한 폭발을 일으킨다. 이 모습을 본 연합군 대장은 망연자실하고 만다. 2008년 개봉한 영화 ‘신기전’의 하이라이트로 꼽을 수 있는 전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아 맙소사! 그의 누런 피부 밑으로는 근육과 그 밑의혈관들이 거의 다 드러나 보였다_소설 ‘프랑켄슈타인’ 전자피부의 기능은 어디까지피부는 과학적으로 놀라운 소재다. 인간이 개발한 가장 발전한 인공근육 소재보다 강도가 10배나 강하고, 연성도 나일론, 폴리아미드 다음으로 뛰어나다. ...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데구르르~.’집안 어디선가 굴러다니는 연필. 세련된 샤프와 볼펜에 비하면 볼품없지만, 수학 문제를 풀 때 이만한 필기구가 없다. 게다가 얇고 긴 몸통 곳곳에 수학이 숨어있다고 하는데 과연 수학과 연필은 어떤 관계일까? 세련된 샤프와 볼펜에 비하면 연필은 왠지 촌스러운 구식 필기구 같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드르렁~ 익숙하지 않은 콧소리가 들렸다. 머리끝까지 뒤집어 쓴 이불 위로 수상한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두껍고 날카로운 갈고리발톱이 이불을 훑는다. 이불을 살짝 들어 바깥을 염탐하니 악어처럼 생긴 얼굴에 커다란 입, 날카로운 이빨, 털이 없는 잿빛 피부…. 헉! 공룡이다. 6월 6일 개봉하는 ...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 편집자주 - 이 기사는 철저히 기술적인 관점에서만 암호화폐를 다뤘습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에 대한 부분은 배제했음을 알려드립니다. 2017년 8월, 200만 원대에 머물던 비트코인이 4개월만에 10배 가까운 2000만 원으로 가격이 뛰었다. 그리고 다시 두 달 만에 반 값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원소들을 원자 번호 순으로 나열하면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주기율표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주기율표가 처음부터 지금처럼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건 아니었다.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가 원소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는 주기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두리안두리안(Durian)은 ‘뾰족한 가시’를 뜻하는 말레이어 ‘두리(Duri)’에서 나온 이름이다. ‘두리오’라는 나무에서 자라는 열매를 말하며 그 종류가 무려 30여 가지에 달한다. 그중 약 9가지 종의 열매만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1년에 한 번만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도 한두 계절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 - 과학자에게 논문은 지식을 얻거나, 연구 방향을 잡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보물창고와도 같습니다. 연구 주제를 정하고 관련 분야의 논문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하는 박사과정 연구원과 최신 연구 동향에 밝을 수밖에 없는 박사후연구원이 직접 해당 분야의 기념비적인 논문을 선정하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백부부: 스무살 때 웜홀을 만들었더라면 줄거리: 잘 나가던 캠퍼스 커플 마진주(장나라)와 최반도(손호준). 오랜 연애 끝에 결혼에 골인하지만 행복함도 잠시, 아내는 육아에 남편은 일에 지쳐 이혼을 선언한다. “모든 것을 다 되돌리고 싶다”고 말하는 부부. 다음 날 놀랍게도 18년 전 대학 신입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추석 연휴 동안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중력파는 검출된 시점부터 물리학상을 받을 걸로 예상돼 왔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극저온전자현미경, 생체시계 연구도 ‘왜 진작 노벨상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요한 업적이다. 그런데 사실 강력한 수상 후보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