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 새로운 7의 배수 판정법, 기존 방법과 똑같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대해 판정법을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하던 중 수학동아 기사를 보게 됐죠. 그래서 치카의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같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용어정리합동 : 모양과 크기가 똑같아 완전히 포개어지는 두 도형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렇게 방정식의 차수를 높일 때마다 무한히 새로운 수들이 생겨나야 하는 걸까? 다행히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레온하르트 오일러 같은 위대한 수학자의 노력으로 모든 n차 방정식의 근은 ‘복소수’, 다시 말해 실수와 허수만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습니다. 이는 수학사에서 가장 ...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는 사람은 렌즈에 적힌 작은 숫자에 궁금증을 품은 적이 있을 것이다.18~55mm, 24~70mm, 70~ ...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옵티카’ 3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364/OPTICA.3841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박사학위를 받으면 어떨까. 그길로 유학을 결심했다. 백발의 할머니가 고급 스포츠카에서 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도시 샌디에이고에 반해 그는 2011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하지만 도시의 낭만과 대학원생의 삶 사이에는 괴리가 컸다. 좋은 연구와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는 ‘TMI 프로필’을 공개했는데, 태현의 프로필에 존경하는 인물로 가우스가 등장했다!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정수론, 통계학, 해석학, 미분기하학, 측지학, 전자기학, 천문학, 광학 등 수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정수론에 큰 공헌을 한 수학자다. 흔히 ... ...
- [에디터노트] 수소의 꿈, 상상의 힘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을 만들어낼 엄청난 크기의 산소탱크도 달았지만,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레이싱카로 최고 시속 333.612km라는 대기록을 세웠다.하지만 이후 기술의 발전 속도는 기대 속도를 따라오지 못했다. 연료로 써야 할 수소 가격은 경제성에서 석유에 한참 뒤졌다. 수소를 압축해 연료탱크에 넣을 때 생길 수 ... ...
- [섭섭박사와만들라보~!] 크리스마스에는 카드를~라보로 비밀 카드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기능과 ‘AND’ 노드를 함께 사용해서 코딩했어요. 그 결과, 흰 눈사람을 인식한 IR 카메라는 조이콘의 버튼을 눌러야 신호를 출력 노드로 전달하죠. 이제 신호를 전달받은 출력 노드에서 캐롤이 나오도록 코딩할 차례예요. 이때는 출력 노드의 ‘소리가 난다’ 기능을 사용하면 돼죠. 원하는 캐롤의 ... ...
- [Go!Go!고고학자] 고대인도 철새처럼 이사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철새임이 밝혀졌어요. 그래서 현재 영국의 고고학자들은 수렵 채집인들이 여름에만 스타 카 유적에서 머물면서 사냥을 했다고 추측하고 있답니다.수렵 채집인이 철새처럼 옮겨 다녔다는 연구를 통해, 요즘에는 인간이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며 함께 진화했다는 시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고고학자가 ... ...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받으면 체온 조절 기능을 잃으면서 내뿜는 근적외선의 양이 줄어들어요. 즉, 근적외선 카메라로 밭을 촬영했을 때, 어두운 부분이 보인다면 해충에게 공격당한 장소인 거죠. Q 지금 만드는 위성의 특징은 무엇인가요?700km 상공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 해충 피해를 탐지하려면 고화질의 사진을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받고 19살에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입학해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천문학을 배웠습니다. 독일 할레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는 수학 연구에 집중해 기하학과 정수론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합니다. 실제로 뫼비우스의 띠뿐 아니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