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d라이브러리
"
침입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용한다.후천 면역반응은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
하면 면역세포 중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항원 제시 세포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등은 이를 소화하거나 쪼개 병원체가 가진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침입
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
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먹어치우는 식세포로 활동하는 동시에, 일부는 항원 조각을 먹은 뒤 항원의 특징을 담은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부는 기억 B림프구가 돼 장기간 몸에서 살아남는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C가 몸에 재
침입
할 경우 기억 T림프구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기억 B림프구를 통해 1~2일 내로 빠르게 항체를 형성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맞는 백신이 바로 이런 원리다. 병원성을 낮춘 항원을 몸에 주입해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후천 면역반응에 해당한다.오랜 기간 인간은 이런 면역시스템을 작동시켜 외부 물질의
침입
을 막아오고 있지만, 항상 방어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2019년 말 출현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물질인 탓에 인간의 면역시스템은 적절한 방어기전을 발동하지 못했다. 또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의 기본 원리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면역세포는 외부에서
침입
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 ... 항원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
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다양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 원리를 밝혔다. 항원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몸속에
침입
하면, 우리 몸속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항원에 꼭 맞는 항체가 생성된다. 도네가와는 우리 몸이 어떻게 무수히 많은 항원에 꼭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신체 조직 성분에 대한 특징을 학습하고 기억한다고 주장했다. 태아 때 외부 물질이
침입
하면 그 또한 자신의 물질로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주장은 계속해서 피부 이식을 연구하던 메더워의 실험을 통해 입증됐다. 메더워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생존하고 있다가 항원이 재
침입
할 때 재빠르게 세포독성 T림프구로 변해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큰 세포독성 T림프구의 활성을 적절히 낮춰 면역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한다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적었다. 그는 물벼룩과 토끼, 개구리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메치니코프는 외부
침입
자를 게걸스럽게 먹어치운다는 의미로 이 면역세포에 ‘식세포(phagocy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늘날 체내에서 병원체나 비생물체, 노화세포 등을 처리하는 면역세포를 모두 식세포라 칭한다. 당시 혈청만이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서로 다른 항원과 항체, 림프구가 상호작용하며 조절된다는 이론으로, 예르네는 항원이
침입
하면 항체와 림프구들은 서로의 짝을 바꿔가며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것이 면역성을 획득하는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당시 학계는 면역이 주로 항체에 의존한다는 학파와 면역세포에 의존한다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